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혈압66

심근경색 증상과 진단, 의사의 과실 이번 사건은 넘어져 팔꿈치 인대가 파열된 환자가 수술한 뒤 며칠에 걸쳐 명치 밑이 아프다거나 구토, 울렁거림 등 심근경색을 의심할 만한 증상을 호소했음에도 이를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아 사망에 이른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최선의 조치를 취해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해 환자의 심장질환을 진단하지 못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환자는 넘어지면서 손을 바닥에 짚은 후 오른쪽 팔에 통증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피고 병원에 내원해 방사선 검사를 한 결과 팔꿈치 척골 주두돌기 폐쇄성 골절이 의심되어 내원 당일 입원했는데요. 의료진은 다음 날 우측 팔꿈치 양측 인대 손상이 의심되어 인대 재건수술을 했는데요. 환자는 수술 당일 명치 밑 통증을 호소했고, 의료진은 혈액검사, 심전도검사 등 검사를 실시했.. 2021. 8. 7.
심부전증, 심근경색, 심장병 환자에게 금기약 투약사건 이번 사례는 심부전증, 심근경색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가 금기된 약을 투약해 환자가 심정지로 사망한 사안입니다. 기초 사실 환자는 피고가 운영하는 내과의원에 처음 내원해 본태성 고혈압, 모세혈관 질환으로 진료 받았습니다. 원고는 이후 피고 의사로부터 고혈압약과 허혈성 제증상 제선제 등을 처방받았습니다. 환자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피고 의사 E에게 요실금, 오심, 다리 떨림, 손발 차가움을 호소했습니다. 그러자 의사 E는 상세불명의 고혈압, 말초혈관질환, 만성 허혈성 심장병, 요실금으로 진단하고 ‘S’를 투약하도록 했습니다. 환자는 당일 피고 병원에서 피고 의원 간호조무사 F로부터 S 250cc 등을 투여 받았습니다. 그런데 환자는 약 1시간 후 의식을 잃었고, 피고 병원 간호사는 119에 전화를 해 .. 2021. 6. 8.
급성심근경색 전원 지연 과실 이번 사례는 의원에서 무릎 인공관절치환술을 받고 이틀 후 급성심근경색증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급성심근경색증이 발병한 경우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하거나 전원 조치를 했는지 여부입니다. 인정사실 환자는 12월 15일 피고 F가 운영하는 정형외과의원에서 좌측 슬관절(무릎관절) 전치환술(인공관절수술)을 받았습니다. 이후 같은 달 17일 피고 대학병원으로 전원되었는데요. 환자는 5년 전부터 당뇨와 고혈압 진단을 받아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습니다. 다음은 피고 의원과 대학병원에서의 시간대별 상황입니다. [좌측 슬관절 전치환술 다음 날인 12월 16일 오후 1시 30분] 구토, 혈압 90/50. [12월 17일 오전 10시 30분] 울렁거림, 기침, 가래. [같은 날 오전 11시] 구토, 진통제 패치 제거.. 2021. 6. 6.
고혈압, 당뇨병 진료 잘하는 전국 의원 명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고혈압, 당뇨병 적정성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전국의 동네의원을 심평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심평원 홈페이지에서 평가 결과를 확인하려면 심평원 홈페이지(www.hira.or.kr)에서 병원·약국→병원평가정보→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심혈관질환과 뇌혈관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죠. 하지만 외래진료를 꾸준히 받으면서 관리하면 질병 악화를 막을 수 있습니다. 고혈압 적정성평가는 외래에서 고혈압 상병으로 혈압강하제를 원외처방한 전국의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혈압강하제 처방일수율 △처방일수율이 80% 이상인 고혈압 평가 대상자의 비율 △혈압강하제가 포함된 원외처방 중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류 △이뇨제 병동 투여율 △권장.. 2021. 5. 3.
고혈압 진료 잘하는 서울 동네의원 보건복지부 산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고혈압 적정성평가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지만 외래에서 꾸준히 관리하면 질병 악화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심평원은 지속적인 외래진료, 약 처방의 적절성, 합병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검사 시행 여부 등을 고혈압 적정성평가라는 방식으로 평가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심평원이 발표한 15차 고혈압 적정성평가는 2019년 7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의원의 처방일수율, 처방지속군 비율,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 이뇨제 병용 투여율, 권장되지 않는 병용요법 처방률 등을 평가한 결과입니다. 평가 결과 전국의 의원 1만 9381개 중 6636개가 양호 기관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서울] 중구 대혜의원, 도.. 2021.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