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상동맥우회술5 협심증 수술 중 혈전, 출혈과 의사 과실 판단 협심증 수술과 의사 과실 상관관계 협심증 진단에 따라 스텐트를 삽입하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한 뒤 혈전이 발생해 관상동맥 우회술을 실시했지만 환자가 사망했다면? 아래 사례는 협심증을 치료하기 위해 관상동맥 중재술과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혈전, 출혈이 발생해 환자가 사망했다면 이를 의료진의 과실로 볼 것인지를 다툰 사안이다. 협심증 치료 중 사망 사건 E는 오전 7시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으로 D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불안정형 협심증 진단을 받아 심장내과로 입원하였다. 의료진은 오전 8시 40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결과 근위부 좌전 하행지 60% 협착, 원위부 좌회선지 70% 협착, 우관상동맥 30% 협착 등을 확인하였다. 이에 오전 10시 15분까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경피적 .. 2023. 11. 17. 협심증 심근경색 증상, 관상동맥우회술 1등급 병원 허혈성 심장질환이란? 기온이 떨어지면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상승하면서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 주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게 심근경색증과 협심증, 돌연사 등이다. 이중 심근경색증은 혈관이 갑자기 막혀 심장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어가는 질환이다. 심장근육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되지는 않았지만 혈관이 좁아져 산소 공급이 감소하고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심근경색, 협심증의 대표적 증상 허혈성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짓누르는 듯한, 쥐어짜는 듯한 갑작스러운 가슴통증, 식은 땀, 구토, 현기증, 팔이나 어깨로 방사되는 통증 등이다. 주된 증.. 2022. 11. 30. 관상동맥우회술 우수병원 전국 명단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20년 8월 26일 관상동맥우회술 우수 병원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이른바 관상동맥우회술 6차 적정성평가 결과를 발표한 것인데요. 관상동맥우회술이란? 관상동맥의 막힌 부위를 우회해 막힌 혈관의 아래 부위로 직접 혈액이 통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 주는 외과적 치료방법을 의미합니다. 2018년 기준으로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로,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허혈성 심질환자 수, 진료비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도 2017년 27.8명에서 2018년 28.3명으로 0.5명 높아진 상태입니다. 허혈성 심질환이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혈액을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으로 협심증.. 2020. 8. 29. 혈액응고억제제 복용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 후 경과관찰을 소홀히 해 경막외혈종으로 척수신경장애 출혈 및 혈종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게 경막외 마취 아래 대퇴동맥의 막힌 부분을 우회해 인조혈관으로 슬와동맥과 연결하는 우회술을 한 뒤 경막외 혈종에 대한 경과관찰을 소홀히 해 척수신경장애를 초래해 하지근력저하 및 감각저하, 배변 및 배뇨장애 발생.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무릎 아래가 저리고 절뚝거리는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양쪽 장골동맥의 협착과 석회화, 양쪽 표재성 대퇴동맥의 협착 진단을 받았다. 피고 의료진은 이에 대해 말초혈액순환개선제인 에글란딘과 혈액응고억제제인 헤파린이 혼합된 수액을 투여했다. 병원은 4일 뒤 오른쪽 다리 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해 혈관을 확장하는 경피적 혈관성형술을 시행했지만 이후에도 원고는 통증을 호소했다. 이에 피고 의료진.. 2019. 2. 20. 협심증으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고 딸이 치료비를 연대보증했지만 채납…보증채무 한도는 얼마? 입원 진료비 청구 치료비 1심 원고 일부 승(소송 종결) 인정 사실 피고는 2011년 10월 원고 병원에 입원해 흉부외과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고 2013년 6월 퇴원했다. *관상동맥 우회술 협심증은 관상동맥(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으로 심장을 왕관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음)에 협착 및 폐쇄가 생겨 심장에 피를 제대로 공급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협심증으로 막힌 관상동맥 부위 이하에 좌우 내흉동맥, 복재정맥, 우위대망동맥, 요골동맥 등의 대체 혈관을 연결하여 심장에 혈류 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는 수술을 관상동맥 우회술이라고 한다. 진료과는 흉부외과, 순환기내과.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피고는 딸을 통해 진료비를 납부하겠다는 입원약정을 체결했고, 딸은 보증채무 최고액을 2천만원, .. 2017. 5.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