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압8 수두증 증상, 션트수술 후 뇌출혈 있다면 수두증 증상과 션트수술 후 뇌출혈, 뇌압 조치 수두증(물뇌증, hydrocephalus)은 뇌실 또는 두 개강 안에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뇌압이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 수두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시력 감소, 구토, 기억장애, 두통, 마비 등이다. 수두증에 대한 치료방법 중 하나는 내시경을 이용해 뇌실 내 단락술(션트수술)이다. 이 수술방법은 내시경이 뇌 조직을 뚫고 통과해 뇌실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의료진은 내시경을 정확히 삽입해야 하고, 뇌실 벽과 중요한 구조물을 손상시켜 출혈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할 의무가 있다. 특히 제3 뇌실 바닥을 천공할 때 바닥 밑에 뇌 기저 동맥이 위치하고 있어 이를 손상시키면 대량 출혈이 발생해 생명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아울.. 2023. 9. 4. 뇌하수체 종양수술한 뒤 뇌경색 혈종제거술했지만 뇌부종 뇌하수체 종양으로 수술한 뒤 뇌경색 증상을 발견해 혈종제거술했지만 뇌부종으로 사망…수술동의서 대리인 위임과 설명의무. 뇌하수체 종양 뇌 조직 중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는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모든 양성 종양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뇌하수체 선종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과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분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눈이 잘 보이지 않아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가 뇌양성종양 소견을 듣고 입원했다. 환자는 입원 당시 좌안 실명, 우안 반맹 상태였는데, 의료진은 뇌하수체 종양을 발견하고 경접동형 종양제거술을 했다. 의료진은 1차 수술후 수술 부위 출혈이 있어 관찰하던 중.. 2018. 11. 27. 뇌하수체선종 2차 수술후 혼수상태가 된 의료분쟁 뇌하수체선종 뇌하수체는 무게가 1g이 채 되지 않는 작은 기관으로 두개골 밑 부분의 가운데에 터어키안이라는 공간에 위치하며, 이곳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뇌하수체 선종이라 합니다. 출처: 네이버,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환자는 시야장애 및 시력감소를 호소하며 피고 병원에서 뇌MRI 검사를 받은 결과 뇌하수체 대선종, 적은 가능성의 두개인두종 진단을 받고 뇌하수체 종양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수술후 시행한 뇌CT 검사 결과 안정 및 안장 위 종양 내 출혈 소견과 뇌부종 소견, 이로 인한 양쪽 측뇌실 및 제3 뇌실 확장 및 뇌실 내 출혈 소견을 보였다. 의료진은 다음날 종양 내 출혈 증가, 뇌 압박이 심해진 것으로 판단해 2차 수술을 했는데 수술 당시 종.. 2018. 11. 21. 뇌종양수술 중 출혈과 뇌부종 발생해 뇌경색으로 우측 편마비 종양제거술과 설명의무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원고는 발작 증상을 보여 MRI 검사 결과 좌측 전두엽, 측두엽, 내측, 섬엽을 침범한 뇌종양이 관찰돼 피고 대학병원으로 전원했다. 피고 의료진은 오전 7시 70분에 개두술을 통한 종양제거술에 들어갔는데 이후 뇌압이 매우 높은 소견을 보였고, 이로 인해 전두엽이 경막 밖으로 밀려나왔으며 출혈도 발생했다. 이에 의료진은 측두엽 일부에 대한 절제술을 했는데 이번에는 뇌의 기저부에서 출혈이 발생했다. 이에 해당 부위를 전기소작하고 지혈한 후 출혈과 뇌부종이 안정되자 전두엽 기저부와 섬엽 등에 있던 나머지 종양을 제거한 후 오후 5시 50분경 수술을 종료했다. 환자는 수술후 전대뇌동맥 영역의 허혈성 뇌경색 소견을 보였고, 우측 편마비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상 보호.. 2017. 10. 20. 수술후 MRSA 검출 불구 뒤늦게 항생제 반코마이신 투여 과실 관상동맥폐색증 수술후 MRSA 검출 불구 4일 뒤 항생제 반코마이신 투여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소송 종결) 사건의 개요 환자는 1932. 8. 25.생으로 2002.경부터 보행장애, 요실금 증상 등을 보이다가♠○○○병원에서 수두증(hydrocephalos) 진단을 받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2004. 12.16.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환자는 12. 28. 피고 병원에 입원한 후 뇌압 측정 및 요추천자 등을 통해 수두증이 이 사건 뇌실-복강 단락술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사받은 후 2005. 1. 3. 심혈관조영술에서 관상동맥폐색증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환자의 보호자인 원고는 우선 이 사건 수술을 마친 후 관상동맥폐색증에 대한 추가시술을 받기를 원했다. 이에 피.. 2017. 7. 3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