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담관암4 담관암 환자에게 광역동치료 중 담관염 악화 응급실 내원 경위 환자는 중증 심부전 등의 기왕증이 있는 80대 환자이다. 환자는 황달 증상이 발생해 I병원에 입원했다가 복부 CT 검사 결과 간내담관의 미만성 확장을 동반한 간문부 담관암 의심 소견을 보였다. 이에 피고 병원 응급실을 거쳐 소화기내과로 입원했다. 환자는 피고 병원 입원 당시 간문부 담관암에 의한 심한 근위부 담관폐색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담관염은 없는 상태였다. 간문부 담관암 좌우 양측 간관과 이들이 만나는 부위인 간문부에 발생하는 암으로 담관이 막히면서 담즙이 내려가지 않아 대부분 황달이 나타나며, 전신 소양감, 회색변, 갈색뇨가 동반된다. PDT(광역동 치료) 포토프린이라는 광감작제를 정맥 주사하고 2일 정도 지나면 종양조직 내 포토프린이 충분히 축적된다. 이 때 특수한 파장의 .. 2021. 12. 3. 담관염을 담관암으로 오진, 간절제술한 과실 이번 사건은 환자가 IgG4 연관 자가면역성 담관염임에도 담관암으로 판단해 간의 65%를 절제하는 간절제술을 시행한 후 간이식까지 했지만 환자가 사망에 이른 안타까운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담관염 배제 진단을 위한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담관암으로 단정한 나머지 간 절제술을 한 게 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급성 췌장염으로 피고 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했고, 혈액검사 등을 거쳐 내시경적 췌관괄약근 절개술을 받고 증세가 호전되어 퇴원했습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환자의 외래 경과 관찰, 혈액검사 및 CT 검사 추적 관찰 중 가성 낭종 크기 증가 소견을 발견했습니다. 이에 초음파 내시경 유도하 위장 문합술 및 췌장 스텐트 삽입 등을 시행했습니다. 당시 내시경 유도하 .. 2021. 6. 9. 간절제술 및 췌장암 수술 중 췌장 주변 유착이 심해 수술계획을 변경, 췌장과 비장만 절제한 사례 (휘플씨 수술)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재심 각하, 대법원 기각 사건의 개요 환자는 2003. 7. 29.경 집 근처 보건소에서 간 기능검사를 하였는데 간수치가 높다는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았다.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8. 12. 자기공명 담췌관 및 혈관 조영술 결과 좌측 간내담관(쓸개즙)에 담관암이 발견되자 입원했다. 쓸개관 간에서 분비된 쓸개즙을 운반하는 관. 간에서 분비된 쓸개즙(담즙)이 샘창자(십이지장)로 배출되는 모든 경로를 말한다. 쓸개관(담관)은 쓸개즙(담즙)이 생성되는 간 내에서부터 쓸개즙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샘창자(십이지장)까지 이어지는 관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신체기관정보 피고 병원의 의사 최○○은 8. 28. 환자와 원고.. 2017. 7. 26. 수술 도중 수술계획 변경, 말기암 수술 적응증 의료분쟁 간절제술, 휘플씨 수술 등 전이암 수술 도중 췌장, 비장 절제술로 수술방법 변경했다면 적응증 오판 과실일까?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소,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환자는 보건소에서 간 기능검사를 하였는데 간수치가 높다는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았다. 피고 병원에서 간내담관에 암이 발견되자, 그 치료를 위하여 피고 병원에 입원하였고, CT검사 등 각종 검사가 시행했다. 그 결과 의료진은 간내담관 및 총담관, 담낭 내로 벽을 따라가는 종양 소견, 간내담관암, 담관암, 담낭암 의증, 용종형 종양이라고 진단한 후 좌측 간엽절제 및 변형 휘플씨수술을 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췌장두부를 절단하고 절제한 담관의 근위부 및 췌장의 절제면에 대하여 조직검사를 의뢰한 다음, 간문맥 .. 2017. 4.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