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장내시경검사6

대장내시경 용종 제거 부작용 등 알아둘 점 대장내시경검사 도중 용종 제거한다면 K는 건강검진에서 대변 속 혈액을 검사하는 대변잠혈반응검사를 한 결과 양성 소견이 관찰되자 A 병원 내과에서 외래 진료를 받았다. 외래에서 실시한 혈액검사 결과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53mg/dl로 정상치보다 높게 측정되어 고지혈증 약물을 처방받고, 이후 복부초음파와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기로 했다. 고지혈증은 혈액 안에 지질 성분이 증가한 것을 의미하며, 총 콜레스테롤 200mg/dl 이상, LDL콜레스테롤 130mg/dl 이상, 중성지방 150mg/dl 이상이면 고지혈증으로 진단한다. K는 약 한 달 뒤 A 병원 외래에 내원해 복부초음파,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검사 직전 측정한 혈압은 134/92mmHg(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이었다. K는 복부초음파 .. 2024. 1. 25.
대장 내시경검사로 용종 제거 중 출혈 사건 대장 내시경검사와 용종 제거 중 출혈 생겼다면 용종은 대장암의 전구 병변(최초에 나타난 병변)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장 내시경검사 도중 용종이 발견되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통상 대장 내시경검사 도중 용종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장 벽이 워낙 얇고, 용종을 떼어내면 장벽이 더 얇아질 수밖에 없어 천공은 대장 내시경검사의 주요 합병증이다. 더욱이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해 대장 내강을 팽창시킴으로써 장벽이 얇아진 상태에서 공기압이 상승하면 천공이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종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천공으로 인한 출혈이 발생했다고 해서 이를 의료 상 과실이라고 단언할 수 없으며, 여러 정황을 종합해 의료진의 잘못이 있었는지 가려야 한다. 아래 사.. 2023. 8. 21.
대장내시경검사 중 환자 사망 초래한 의사 대장내시경검사 의료사고의 쟁점 이번 사건은 고령의 환자를 대상으로 대장내시경검사와 용종절제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대장에 천공을 초래해 응급처치를 했지만 심정지를 초래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해당 의사가 내시경기구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대장 내벽에 상처를 입히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천공이 발생한 이후 환자의 활력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여부다. 대장내시경검사 도중 천공 발생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D의원에서 내과 전문의로 근무하던 중 피해자 E를 상대로 대장내시경검사와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게 되었다. 당시 피해자는 73세의 노인으로 상대적으로 혈압이 높고 신체조건이 노쇠한 상태였다. 노인 상대 내시경검사 시술 의사의 주의의무 고령자를 대상으로 대장내시경검사 및 용종.. 2022. 10. 3.
혈변으로 대장내시경검사하고 대장암 발견 못한 과실 대장내시경 검사 소홀 의료분쟁의 쟁점 이번 사건은 혈변 등으로 피고 병원에서 대장내시경검사를 한 결과 정상소견이 나왔지만 몇 개월 뒤 다른 병원에서 대장암 확진 판정을 받은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피고 병원 의료진이 대장내시경검사를 하면서 대장 전체를 검사해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대장내시경검사에서 대장암을 놓친 사건의 개요 원고는 2주일 전부터 달리기 하는 것처럼 가슴이 뛰고 1주일 전부터 혈변이 나오며 어지러움 증상이 나타나자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원고는 피고 병원에 입원해 3월 14일 위내시경검사 및 복부 전체 CT 촬영을 했다. 피고 의사 C는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7mm의 용종을 발견해 점막절제술로 제거했고, 특별한 것이 없다고 진단했다. 또 항문에서 70cm 지점에서 .. 2022. 10. 1.
위, 대장내시경 검사후 복막염으로 패혈증 내시경 검사 결과 염증 발견 환자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소화기내과 전문의로부터 위장내시경과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았는데 위장에서 염증이 발견되었다. 또 대장에서는 치질과 게실이 발견되었고, 의료진은 약물 처방 후 1주일 후 경과를 관찰하기로 하고 귀가시켰다. 게실은 위, 창자, 방광 등의 내부에 공간을 지닌 장기의 일부가 볼록하게 바깥쪽으로 돌출해 끝이 막힌 주머니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좌측 대장과 S자 결장에 흔하며, 합병증으로 염증이 발생하면 천공이 일어나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틀 후 복부 통증 호소하며 피고 병원 내원 환자는 이틀 후 오전 11시 51분 경 점심을 먹은 후부터 심한 복통과 구토 증상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에 다시 내원했다. 당시 환자의 체온은 37.4도였다. 의료진은 혈액검사 .. 2022.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