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레이저시술9 모공 축소 레이저, 박피 시술 후 흉터, 색소침착 레이저, 박피 시술 후 부작용 발생 사건 얼굴 여드름 흉터나 모공을 축소하기 위해 레이저 시술이나 박피 시술을 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런 피부미용을 전문으로 하는 의료기관들은 하나같이 안전하게 흉터와 모공을 치료하며 부작용이 없다고 홍보하지만 피부 상태를 충분히 감안하지 않을 경우 색소 침착이나 흉터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공 축소 등을 위해 레이저나 박피 시술을 받을 때에는 의사의 숙련도, 전문의 여부 등을 충분히 확인한 뒤 시술을 받은 게 보다 안전할 것이다. 아래 사안은 모공 축소를 위해 레이저 시술과 박피 시술을 받은 뒤 여드럼성 병터와 모공 확장, 흉터 등이 발생한 사안이다. 얼굴 모공 축소 레이저, 박피 시술 후 흉터 발생 A는 얼굴 안색을 개선하고, 모공 축소 .. 2024. 3. 21. 레이저 지방제거 시술받기 전 주의할 점 레이저 지방제거 시술 부작용과 환자 유의사항 레이저 지방제거술은 레이저를 광섬유를 통해 살을 빼고자 하는 부위의 지방세포에 직접 조사해 레이저의 열작용과 물리적 작용을 통해 지방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시술 방법은 국소마취 아래 시술하므로 마취에 대한 부담이 적고, 조사된 레이저는 주로 지방세포에만 작용하고, 상대적으로 신경과 혈관세포에는 작용이 적다. 시술 후 멍이나 통증이 전통적 지방흡입술에 비해 거의 없고, 바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 또 얼굴, 턱, 발목, 종아리 등 기존의 지방흡입이 어렵거나 시술 후 회복기간이 길었던 부위도 어렵지 않게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이저의 열작용에 의한 콜라겐 합성 증가의 효과로 표피 근처의 지방에 적용했을 경우 피부의 탄력도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 늘.. 2024. 3. 2. 흉터 제거 레이저 치료하기 전 고려 사항 흉터 제거 시술받을 때 부작용 방지 위해 고려할 점 지방이식수술 등으로 생긴 흉터를 제거하기 위해 레이저 치료를 받을 때 기대했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또한 흉터 제거 과정에서 화상 등으로 오히려 흉터가 더 커질 수도 있는 만큼 시술을 받기 전에 시술하는 의사의 치료 경력, 어느 전문과목 전문의인지 꼼꼼하게 살피는 게 좋다. 아울러 시술에 앞서 의사로부터 다양한 시술 방법과 각 시술의 장단점, 시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신중하게 시술을 받을지 결정해야 한다. 아울러 성급하게 의사를 선택하지 말고, 여러 의료기관에서 상담을 받은 뒤 의료기관과 의사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래 사안은 콧등 흉터 제거를 위해 레이저 시술을 받은 뒤 .. 2023. 7. 7. 점, 오타모반 레이저 시술과 흉터, 염증 대처법 오타모반, 점에 대한 레이저 시술 주의사항 오타모반은 멜라닌 세포가 진피(dermis)에 존재하면서 갈색이나 청회색의 색소침착 양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오타모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Nd-YAG 레이저를 사용하는데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멜라닌 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한다. 이때 오타모반과 정상조직 사이의 선택성이란 상대적인 것으로서 레이저의 강도, 지속시간 등을 조절해 가능한 정상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한다. CO2 레이저는 주로 점, 검버섯, 주근깨, 사마귀, 티눈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레이저 시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1) 시술과정에서 흉터 등 방지 의무 점, 오타모반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레이저를 과다 조사하면 피부가 파여 상처가 발생하거나 염증, 흉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2023. 3. 10. 레이저 시술 부작용과 색소침착 올인원 레이저 시술 받은 원고 원고는 피고가 운영하는 피부과의원에서 미용개선을 위해 여러 가지 종류의 레이저를 차례대로 얼굴에 쐬는 일명 올인원테라피 시술을 받았다. 원고는 두 달 뒤 여러 가지 종류의 레이저 치료를 얼굴에 한번 더 받았다. 두차례 시술 후 얼굴에 색소침착 발생 원고는 시술 후 얼굴에 상처, 진물이 생겼고, 현재도 양쪽 뺨에서 대략 4×5cm의 색소침착이 관찰되고 있다. 색소침착이란? 과다색소침착은 일반적으로 피부나 구강 등을 둘러싸고 있는 점막 등에 멜라닌이 증가해 색이 검거나 갈색 등으로 바뀌는 증상을 의미한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하이드로퀴논 크림, 아젤라 인산, 스테로이드 등을 도포하거나 비타민 C 공급, 화학박피, 레이저 등으로 한다. 원고의 손해배상소송 청구 그러자 원고는 피고 .. 2022. 3.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