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비11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전 유념할 점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부작용과 환자 주의할 점 P 씨는 퇴근하던 중 다리 마비 증상이 발생하자 뇌출혈을 의심해 바로 C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MRI 검사 등을 받았다. 그 결과 다행히 뇌출혈은 아니었지만 척수병증을 동반한 경부(목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이에 추간판을 제거하고, 척수를 감압한 후 케이지를 삽입해 고정하는 수술을 했다. 그런데 수술 이후 다리 강직성 마비, 자력으로 기립이나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고, 스스로 식사나 옷 입기 등을 할 수 없는 지체기능장애 2급 장애 진단을 받았다. P 씨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동이 불가능하다. 척수병증이란? 척수에 기존의 압박이 있는 상태에서 굴곡되면 척수가 길고 가늘어지며 골극에 의해 척수 압박이 증가한다. 또 척추.. 2024. 4. 9.
광대축소, 귀족수술, 안면거상술 부작용 대처법 안면거상술 등 얼굴 성형수술 부작용과 의사의 책무 광대축소수술(안면윤곽), 귀족수술(코바닥융기술), 얼굴의 늘어진 피부와 주름을 제거하는 안면거상수술은 미용적인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미용성형수술이다. 하지만 미용 개선이라는 효과를 기대하지만 출혈, 통증, 흉터, 비대칭, 감각 저하, 부자연스러움, 감염, 염증, 불유합, 지연유합, 신경 및 혈관 손상, 마취사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광대축소술은 광대뼈의 불유합과 볼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귀족수술은 신경 주변을 조작하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신경의 늘어짐 및 일시적인 감각 이상이 발생하며, 삽입된 보형물 주변에 감염이 발생하면 보형물을 제거해야 하고, 비대칭, 출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안면거상술은 얼굴 근육 움직임의 일부 또는 전체를 마.. 2023. 12. 29.
뇌동정맥기형 증상, 진단, 치료, 의사 주의사항 뇌동정맥기형이란? 뇌동정맥기형(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동맥과 정맥 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직접 정맥으로 이행하는 혈관기형이다. 이 경우 동맥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정맥으로 혈류가 바로 전해져 뇌출혈의 원인이 되고, 동맥 압력이 낮아지고 정맥 압력이 높아져 기형혈관 주위의 뇌 조직에 혈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주위의 뇌 조직은 신경교증과 괴사를 일으키게 되며 주변 혈관들은 자동 조절 기전에 장애가 되고, 최대한 확장하게 된다. 뇌동정맥 기형의 증상 이때 우회 배출이 잘되지 못하거나 혈관 내벽의 변성이 심하면 출혈 증상이 발생한다. 뇌동정맥 기형의 절반에서 뇌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통, 의식 저하.. 2023. 12. 23.
경동맥 협착 수술 집도의의 책무와 과실 경동맥 협착 수술 후 혈전에 의한 뇌경색 경동맥 협착에 대해 내막절제수술을 시행할 때 혈전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으면 뇌경색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션트를 사용할 경우 션트 삽입 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되거나 션트 삽입으로 인한 내막 박리, 공기나 혈전으로 인한 색전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아래 사례는 경동맥 협착 진단에 따라 경동맥 내막 절제수술을 한 뒤 급성 뇌경색과 망막 동맥 폐색이 발생한 사안이다. 경동맥 협착 수술 경과 환자는 급성 심근경색으로 과거 스텐트 삽입술,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받은 뒤 대학병원에서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아왔다. 그러던 중 뇌경색으로 왼쪽 팔 마비증상이 있자 G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가 증세가 호전되자 퇴원했다. 환자는 약 1년 뒤 G 병원 신경외과에서 진료를 받았.. 2023. 8. 18.
경추 추간판탈출증 수술 후 목보호대를 조이지 않은 의료과실 경추 추간판탈출증 환자가 추간판절제술을 받은 뒤 목 보호대를 조이지 않고 침대에서 일어나다가 척수손상으로 사지마비…의료진의 목 보호대 지도설명의무 위반 의료과실 인정.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계단에서 구르는 사고를 당해 경추 추간판탈출증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서 미세현미경적 전방 추간판절제술 및 경추체간 인공디스크 삽입술을 받았다. 척추 척추는 단골에 속하며, 중심체가 되는 추체(椎體)와 여기에서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추궁(椎弓), 다시 여러 돌기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추체와 추궁에 둘러싸여 중앙에 커다란 추공(椎孔)이 이루어진다. 각 추골군은 각기 특유의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판별이 용이하다. 경추는 전반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 2017.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