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세혈관감압술3 삼차신경통 증상, 치료법, 후유증 의료사고 판단 삼차신경통 치료방법과 의료사고 판단 삼차신경통은 얼굴 부위 감각과 씹는 근육을 담당하는 뇌신경이 세 갈래로 나눠져 있어서 삼차신경이라고 한다. 첫 번째 신경은 이마와 눈 주위 감각을, 두 번째는 광대뼈 부위 감각을, 세 번째는 턱 주변 감각을 담당한다. 이 삼차신경이 뇌혈관, 종양 등 무언가로부터 압박을 받으면 심각한 통증이 일어난다. 삼차신경통이 발생하면 갑자기 얼굴에 전기 쇼크와 감전이 된 것 같거나 얼굴 전반을 칼로 찌르는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또 식사나 양치 중 특정 부위에 자극이 가면 얼굴 통증이 심하고, 가벼운 얼굴 접촉만으로도 참기 힘든 통증이 발생한다. 삼차신경통 치료 방법은 약물을 투여하거나 수술을 하는 것이다. 약물 치료에는 항경련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2023. 11. 7. 안면경련 진단후 미세혈관감압술 받고 안면신경 마비, 청력상실, 이명 환자에게 의료행위 이전에 악결과의 원인이 될 만한 건강상의 결함이 없었다는 사정을 증명한 경우 의료행위를 한 측이 그 결과가 의료상의 과실로 인한 게 아니라 전혀 다른 원인으로 말미암은 것이라는 입증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는 이상 의료상 과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거나 그 결과의 발생에 의료상의 과실 이외의 다른 원인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간접사실들을 입증해 의료상 과실에 따른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게 대법원의 판례다. 다만 그런 경우에도 의사의 과실로 인한 결과 발생을 추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는 사정들을 가지고 막연하게 의사의 과실과 인과관계를 추정해 의사에게 무과실 입증책임을 지우는 것까지 허용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 2018. 10. 10. 삼차신경통수술 받고 감각저하 사건 오른쪽 빰 부위 삼차신경통으로 개두술과 미세혈관감압술을 받고 눈과 코 주위 감각저하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미국에 거주하는 원고는 오른쪽 뺨 부위 통증으로 미국 병원에서 삼차신경통 진단을 받고 정도가 심해지자 진료를 받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신경과 의료진은 측두부 MRI 검사 결과 우측 전교 정맥이 삼차신경에 인접해 있으면서 삼차신경을 압박해 위와 같은 통증이 발생한다고 판단했고, 신경외과 의료진은 개두술 및 미세혈관감압술을 시행했다. 원고는 수술후 심각한 통증을 호소하지 않은 상태에서 퇴원했다. 원고의 주장 피고 의료진의 과실로 인해 극심한 통증과 안면마비 장애를 입었는데 이는 수술 과정에서 삼차신경통과는 무관한 다른 신경을 제거한 때문이다. .. 2017. 10.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