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색전술8 뇌동정맥 기형 환자가 주의해야 할 뇌출혈 뇌동정맥 기형 합병증과 수술 부작용뇌동정맥 기형(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동맥과 정맥 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정맥으로 직접 이행하는 혈관기형이다. 동맥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정맥으로 혈류가 바로 전해져 뇌출혈의 원인이 된다. 뇌동정맥기형의 합병증으로는 간질 발작과 뇌출혈이 대표적이다. 뇌출혈은 그 정도에 따라 사망에서부터 의식 불명, 반신 마비, 언어장애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뇌동정맥 기형은 주로 뇌 CT나 MRI 촬영을 통해 진단한다. 그런데 뇌동정맥 기형의 크기가 작고, 병변 주위에 출혈, 부종 등이 없으면 MRI 상으로 쉽게 발견되지 않을 수는 있다. 이후 기형의 유입동맥과 유출동맥을 확인하고, 병소의 크기와 부위를.. 2024. 4. 29. 섬유종 수술 후 혈압 저하…출혈 부위 지혈 지연 과실 수술 부위에 발생한 출혈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혈과 동시에 출혈이 발생하는 부위에 대한 지혈조치가 필요하다. 지혈방법은 출혈 부위에 대한 압박 지혈, 혈관조영술을 통한 색전술, 수술 부위 재개방 후 출혈이 발생한 혈관을 찾아 결찰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사례는 섬유종 수술 후 혈압이 상승하지 않아 수혈 등의 조치를 취하다가 뒤늦게 혈관조영술을 실시해 수술 부위 혈종을 확인하고 색전술을 시행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섬유종 수술 후 쇼크로 뇌손상 발생 사건 원고는 양쪽 어깨뼈(견갑골) 부위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일을 많이 한 날에는 통증이 심해 잠을 이룰 수 없자 피고가 운영하는 G병원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방사선 촬영 및 초음파 검사를 거쳐 양성 종양인 탄성 섬유종으로.. 2023. 6. 9. 동정맥기형 색전술 후 뇌출혈, 완전마비, 보행불능, 간질, 대소변 장애 동정맥기형에 색전술한 후 뇌출혈, 좌측 완전마비, 보행불능, 간질, 대소변 장애 등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상고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평소 간헐적인 두통이 있었지만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고 지내다가 마산 00병원에서 건강검진 차 MRI 검사를 한 결과 우측 전두부 동정맥기형이 발견됐다. 동정맥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 ] 동정맥기형(AVM)은 동맥과 정맥이 서로 엉켜 모세혈관과 연결되지 않은 선천적 결함입니다. 모세혈관의 부족으로 피가 빨리 흐르게 되며, 기형화된 혈관으로 피를 보내고, 높은 혈압에서도 동맥으로부터 말초 조직까지 영양분이 풍부한 피가 흐르지 못하도록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보건연구원 희.. 2017. 9. 1. 복강내 출혈환자 색전술했지만 장기부전 사망…외과수술 안한 게 과실일까 (복강내 출혈로 사망)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대법원 상고 기각 환자는 복부 둔상으로 인한 복강 내 출혈로 다른 병원에 내원했다가 구급차를 이용해 피고 병원 응급실로 전원했다. 피고 병원은 CT 검사 결과 간 파열 및 복강 내 출혈로 진단하고, 동맥조영술 결과 우측 간혈관 부분 출혈이 관찰되자 색전술을 시행했다. ◆색전술 이후 활력징후 및 혈소판 수치 환자는 색전술 이후부터 계속해서 복부 통증 및 복부팽만을 호소했고, 복부천자를 실시해 350cc의 혈액을 배액시켰다. 하지만 6시간 후 환자의 혈압이 떨어지고 의식 상태가 저하되더니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 부검 결과 '복강내 혈종을 포함한 다량의 혈액이 보이고, 창자 사이막에서 다양한 크기의 파열, 사인 배 부위 손상(창자 사이막.. 2017. 6. 25. 자궁근종 용해술후 괴사로 자궁화농증과 패혈증 발생, 자궁 및 난관 절제술 (자궁근종용해술 합병증)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원고는 모 산부인과에서 자궁근종이 있다는 진단을 받고 크기를 줄이기 위해 미레나를 삽입했는데 약 6개월후 확인한 결과 크기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자궁근종이 있는 것을 확인했지만 혈액검사 및 자궁경부암 검사에서는 별다른 이상 소견이 없었고, 피고 병원 생식의학 불임클리닉에 내원해 피고 D로부터 자궁근종용해술을 받고 퇴원했다. 며칠 후 원고는 검사 결과 원인 미상의 감염과 함께 색전술 후 자궁 후방 근층내 자궁근종의 허혈성 괴사가 있고, 자궁 오른쪽 저부와 후방 벽 안에 3개의 장막하근종들과 전방, 후방 등에 자궁층 근종이 있었으며 자궁에 선종이 퍼져 있었다. 이에 H병원은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 절제술 및 우측 난관절제술을 시행했다. .. 2017. 6. 2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