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어증5 동맥경화 증상 불구 디스크 수술한 뒤 뇌경색 아래 사례는 허리 디스크 진단 아래 수술을 시행한 뒤 뇌경색이 발생해 편마비, 실어증 등으로 치료를 받은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수술을 하기 전 동맥경화 증상이 있었고, 혈소판 수치가 정상치를 밑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수술을 시행한 것이 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다. 동맥경화, 혈소판 낮은 환자 디스크 수술 후 뇌경색 발생 환자는 허리와 왼쪽 엉덩이 통증,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이 지속되자 피고가 운영하는 H병원을 방문해 요추(허리뼈) 4-5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의료진은 디스크 수술을 하기 전 시행한 흉부 X-ray 검사 결과 대동맥에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적인 병변이 관찰되었다. 또 수술 전 혈액검사를 한 결과 혈소판 수치가 97,000/㎣(정상치 130,000~400.. 2023. 6. 10. 편마비, 뇌출혈환자 전원 지연 과실 원고의 편마비 발생 원고는 오후 5시 경 편마비가 발생해 오후 5시 59분 경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심전도와 산소포화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오후 6시 9분 경 뇌 CT 검사를 했다. 이어 6시 15분 경 뇌출혈 소견이 있다고 판단해 6시 25분 경 혈관조영 CT 검사를 했다. CT 검사 결과 검사 결과 좌측 기저 핵 부위에 4cm 크기의 급성기 뇌내 출혈이 있는 상태였다. 또 주변 뇌실 모양으로 볼 때 종괴 효과(mass effect)가 있고, 뇌출혈 주변에 지주막하 출혈도 동반된 양상이었다. 비교적 출혈량이 많고 혈종 내부에 활동성 출혈(active bleeding)이 있어 두 개절제술 등의 응급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피고 병원의 처치 내역 의료진은 6시 31분 경 출혈 성향을 .. 2021. 10. 6. 정맥류 출혈 수술후 뇌손상…기도확보 조치, 활력징후 측정상 의료과실 식도정맥류 간경변증에 의한 문맥압 항진증으로 인해 혈액이 더 이상 간으로 들어가질 못하고 많은 혈액이 좀 더 쉬운 길 즉 압력이 낮은 쪽으로 길을 만들어 흘러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원래 가늘었던 혈관들이 작게는 몇 십 배에서 크게는 몇 백배 이상으로 확장되고 일부는 식도내로 돌출되어 식도정맥류를 형성하게 되고 일부는 위로 돌출되어 위정맥류를 만든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알코올성 간경화, 고혈압 진단을 받은 바 있는데 토혈을 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고, 의료진은 정맥류 출혈이 있자 식도정맥결찰술을 시도했다. 하지만 병변 부위의 섬유화 변성이 동반된 상태여서 중단하고 S-B 튜브를 이용한 풍선탐폰법을 시행했다. 그런데 .. 2019. 1. 26. 비중격만곡증 수술 과정에서 고혈압환자 금기약물 투여해 뇌출혈, 편마비, 인지장애, 실어증 비중격 만곡증 코의 중앙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콧구멍을 둘로 나누는 벽인 비중격이 휘어져 코와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거나 코막힘, 부비동염 등의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를 말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비중격만곡증에 대해 비중격성형술 과정에서 만성 고혈압환자 금기약물인 리도카톤을 투여해 뇌출혈 초래해 편마비, 인지장애, 실어증 초래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편위된 코사이막(비중격 만곡증)으로 피고 이비인후과에서 비중격 성형술을 받기로 했다. 피고는 수술을 위해 리도카톤을 이용해 원고의 비중격 점막하에 침윤마취하고, 수면유도제 미다컴을 정맥주사했는데 약 5분 뒤 원고의 혈압이 상승하고 안면경직, 저작근 경직과 함께 혀가 뒤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증.. 2019. 1. 3. 모야모야병 수술후 실어증, 뇌손상으로 편마비…진료기록 허위 기재, 뇌출혈 진단 지연 과실 쟁점 추가적인 활력징후 검사와 동공검사를 하지 않고 아티반을 투여한 게 의료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 사건명: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구토를 동반한 심한 두통으로 피고 병원에서 모야모야병으로 인한 뇌실내 출혈 진단을 받았다. 이에 피고 병원에서 측두동맥-중대뇌동맥문합술과 뇌경질막동맥간접문합술을 받았다. 환자는 10여일 후 실어증 증세를 보이고,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병동을 배회하다가 울렁거림으로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였고, 의료진은 벤조디아제핀계 안정제 아티반을 투여했다. 또 왼쪽 수술 부위 출혈과 뇌압 상승이 확인되자 뇌압 강하를 위해 만니톨을 투여했으며, 두개감압술 및 혈종제거술을 시행했다. 원고는 현재 뇌손상으로 인한 우측 편마비, 인지장애 및 언어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2017. 4.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