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면윤곽수술14

사각턱교정 안면윤곽수술 중 과다출혈 사망 의사는 진찰이나 치료 등의 의료행위를 할 때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의 조치를 취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성형외과에서 안면윤곽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과다출혈로 사망을 초래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J성형외과의원을 내원해 안면윤곽수술 상담을 받고 수술을 받기로 결정했습니다. 해당 성형외과가 그 날 환자의 혈액응고검사를 했는데 별다른 이상 소견이 없었습니다. 환자는 며칠 뒤 안면윤곽수술을 위해 성형외과에 내원했고, 마취과 전문의가 마취를 시작했습니다. 성형외과 의사는 약 1시간 동안 환자의 턱뼈를 깎아내는 사각턱축소술과 턱끝 축소술을 시행했는데, 그 과정에서 다량의 출혈이 발생했습니다. 의료진은 수술 부위를 세척하고, 지혈조치를 했는데 출혈이 멈추.. 2020. 9. 14.
안면비대칭 교정, 안면윤곽수술 의료과실들 안면윤곽술 시술을 하는 의사는 시술을 받는 사람의 안면 해부학적 구조와 하치조신경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해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술할 의무가 있다. 이와 함께 성형수술을 하는 의사는 환자의 미용개선에 관한 요구를 파악한 후 의학적 관점에서 그 적정성을 평가, 판단하고 최선의 수술계획을 세운 다음 수술계획에 따라 올바르게 시술해야 할 책임이 있다. 다음의 사건은 의료진이 위의 주의의무를 위반해 장애를 초래한 사건들이다. 사건1. 안면비대칭 교정수술 후 하치조신경 손상 A는 피고 병원에서 미용적인 개선과 안면비대칭 교정을 위해 위턱 교정수술, 아래턱 교정수술, 턱끝성형술을 받았다. A는 이 수술 이후 개구장애 및 악관절 동통이 지속되는 저작장애, 촤측 하치조신경(아래턱 치아, 잇몸, 혀, 입술 등 감각.. 2020. 7. 1.
안면윤곽수술 중 뇌출혈, 뇌경색 초래한 과실 사건 사각턱수술, 광대뼈 축소술, 피질골 절제술 등 안면윤곽수술 중 측두골, 측두엽 부위를 골절 또는 손상시켜 뇌출혈 및 뇌경색 초래해 편마비, 인지장애, 시각장애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사실 원고는 피고 성형외과에서 안면윤곽수술(사각턱수술, 광대뼈 축소술, 피질골 절제술)을 받았다. 그런데 원고는 마취 종료 후 상당 시간이 지났음에도 의식을 회복하지 못해 119 구급대를 통해 A병원으로 전원했다. A병원 검사 결과 원고는 좌측 두부에 다량의 출혈이 발생했고, 개두술과 혈종제거술을 시행했는데 좌측 측두엽이 손상돼 출혈이 발생했고, 측두골이 골절되었으며, 경막이 손상된 상태였다. 병원은 개두술 및 혈종제거술을 시행했지만 뇌출혈과 이로 인한 뇌경색으로 좌측 편마비, 인지장애, 시각장.. 2017. 11. 29.
안면윤곽수술, 양악수술 후 턱 이상감각, 통증, 잡음 있다는 의료분쟁 안면윤곽수술 및 양악수술 부작용 호소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원고는 자신에 대한 수술 정보를 피고 성형외과의원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조건으로 무료 안면윤곽수술 및 양악수술을 받기로 했다. 피고 의원은 수술전 x-ray, CT 검사를 한 뒤 수술을 했으며, 수술후 원고의 활력징후가 안정적이고 수술후 4시간 경과후 시행한 안면신경에 대한 검사 결과도 정상 소견이 나왔다. 피고는 이를 확인하고, 수술 다음날 배액관을 제거했다. 원고는 수술 4개월후 내원해 왼쪽 턱 이상감각과 통증을 호소했고, x-ray, CT 검사를 통해 신경손상 여부를 검사한 다음 신경통증 치료제인 뉴론틴을 처방했으며, 한달 후 x-ray 검사를 했다. 원고는 또 약 6개월 뒤에는 입을 벌릴 때 잡음이 있고, 턱 밑에 찌릿한 통증이 있다고 호.. 2017.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