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언어장애21

갑상선암 수술 후 발성 언어장애 방지하려면 갑상선 수술 후 발성 언어장애 방지하려면? 갑상선암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의 하나가 반회후두신경 손상으로 이로 인해 발성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집도의는 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주의의무가 있고, 수술에 앞서 다양한 수술 방법과 각각의 수술 방법의 장단점과 부작용을 설명해 환자가 어떤 수술을 받을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안은 갑상선암 진단 아래 내시경 절제술을 하는 과정에서 반회후두신경을 손상해 직접 절제술로 전환해 수술을 마쳤지만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성 언어장애가 발생한 사안이다. 갑상선암 수술 후 발성 언어장애 발생 사건 원고는 피고 J 병원에 내원해 피로를 호소하면서 갑상선암 가족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원고는 얼마 후 피고 병원에서 갑상.. 2023. 6. 25.
동맥경화 증상 불구 디스크 수술한 뒤 뇌경색 아래 사례는 허리 디스크 진단 아래 수술을 시행한 뒤 뇌경색이 발생해 편마비, 실어증 등으로 치료를 받은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수술을 하기 전 동맥경화 증상이 있었고, 혈소판 수치가 정상치를 밑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수술을 시행한 것이 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다. 동맥경화, 혈소판 낮은 환자 디스크 수술 후 뇌경색 발생 환자는 허리와 왼쪽 엉덩이 통증,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이 지속되자 피고가 운영하는 H병원을 방문해 요추(허리뼈) 4-5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의료진은 디스크 수술을 하기 전 시행한 흉부 X-ray 검사 결과 대동맥에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적인 병변이 관찰되었다. 또 수술 전 혈액검사를 한 결과 혈소판 수치가 97,000/㎣(정상치 130,000~400.. 2023. 6. 10.
임신성 당뇨 방치해 거대아 출산 후 언어장애, 지체장애 빈혈과 임신성 당뇨 증상 발생 원고는 G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아왔는데 혈액검사 결과 혈색소 수치가 8.5g/dL로 참고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태로 확인되는 등 빈혈 증상이 있었다. 또 혈중 당 수치가 294mg/dL로 참고치인 70~140mg/dL에 비해 현저히 높아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증상도 있었다. 원고는 임신 35주차에 피고 병원에 처음 내원했는데 당시 몸무게는 77.7kg이었다. 원고는 피고에게 G산부인과에서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 및 50g 당부하검사 결과를 알려주었다. 이에 피고 의사는 원고를 빈혈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한 후 빈혈이 지속될 경우 그에 대한 치료를 할 예정이라는 점과 심인성 당뇨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했다. 원고는 임신 36주차.. 2022. 6. 2.
신생아 뇌병증 산부인과 과실 이번 사건은 분만 예정일이 지났음에도 진통이 오지 않자 유도분만을 위해 산부인과에 내원해 제왕절개수술을 한 뒤 신생아 뇌병증으로 운동장애, 일상생활동작장애 등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전자태아감시장치를 부착한 후 지속성 태아심장박동수 감속 양상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진이 경과관찰 의무를 소홀히 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산전 진찰을 받아왔고, 산모나 태아 모두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는 않았습니다. 원고는 분만 예정일이 지났음에도 자연진통이 발생하지 않아 유도분만을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습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에게 전자태아감시장치(NST)를 부착해 간헐적으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감시했습니다. 의료진은 약 11시간 뒤 태아심장박동수가 지속적으로 감속하는 .. 2021. 6. 16.
뇌동맥류 수술후 뇌경색으로 편마비, 구음장애 이번 사건은 두통이 지속되자 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 뇌동맥류가 발견돼 개두술과 뇌동맥류결찰술을 받은 직후 뇌경색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뇌혈류 장애를 초래했는지, 수술 이전에 충분하게 설명할 의무를 이행했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두통이 지속되자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에 내원해 뇌CT 검사를 받았는데요. 그 결과 뇌실질에는 특이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좌측 중대뇌동맥에 비파열성 뇌동맥류가 발견되었습니다. 이에 피고 병원 신경외과 전문의는 뇌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해 개두술 및 뇌동맥류결찰술을 시행했습니다. 피고 병원 간호사는 수술 종료 30분 후 원고의 신경학적 상태를 확인했는데 의식은 거의 명료했고, 사지의 근력은 우측 상하지가 1~2등급, 좌측 상하지.. 2021.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