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골신경4 손가락 접합수술 후 피판이식했지만 통증 심해 팔목 절단 통증 원인이 피판이식 때문일까? 사고 때문일까? 이번 사건은 왼쪽 손을 트럭과 부딪혀 손가락 접합수술과 피판이식술을 받은 뒤 참을 수 없는 통증으로 인해 손가락 절단에 이어 팔목 절단 수술을 받은 사안입니다. 이 사건의 쟁점은 참을 수 없는 통증이 사고로 인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때문인지, 피판이식술 과정에서 신경을 손상한 의료과실 때문인지가 쟁점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자전거를 타던 중 왼쪽 손을 트럭과 부딪히는 사고를 당해 피고 대학병원으로 후송되었고, 사고 당일부터 다친 부위를 접합하기 위한 수술을 받는 등 입원치료를 받았습니다. 원고는 한 달 여 후 피고 병원에서 왼쪽 팔의 전완부(팔꿈치와 손목 사이의 부분) 조직을 요골동맥경이 부착된 채로 왼쪽 손 부분으로 이식하는 요골동맥경 피판이식술(rad.. 2021. 2. 7. 외상과염에 대해 관절경 변연절제술 과정에서 요골신경 손상 주관절 외상과염에 대해 관절경 변연절제술 과정에서 요골신경을 손상해 왼팔 마비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좌측 주관절 외상과염으로 피고 병원에서 관절경에 의한 변연절제술을 받았다. 외상과염 테니스엘보우는 팔꿈치의 바깥쪽 돌출된 부위의 염증으로 외상과염이라고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수술 과정에서 원고의 왼팔 요골신경이 손상되어 왼팔의 마비와 함께 손목 부위를 들어 올리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났다. 원고는 이후 상급병원에서 외측두-상완골 후면의 나선구 상부 요골신경에 부분적이나 심한 손상이 확인되었다. 원고는 신경이식술 이후에도 왼쪽 손목 및 엄지에 신전운동의 제한이 있고, 엄지와 검지가 심하게 저리는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법원의 판단 .. 2019. 8. 8. 골절수술 중 신경 손상해 운동 제한 및 악력 감소 등 장애 초래 팔꿈치 골절 수술중 요골신경 손상해 운동 제한 및 악력 감소 등의 장애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인정 사실 원고는 운동을 하다가 좌측 팔꿈치를 바닥에 부딪치면서 넘어져 통증을 느껴 피고 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한 결과 좌측 상완골 중간간부 횡골절이 관찰되었지만 수지 부위 운동이나 감각 이상 등은 관찰되지 않았고, 요골 신경 마비에 대한 진단도 없었다. 상완골골절은 상완골(위팔뼈)에서 일어나는 골절을 의미한다. 요골신경 상지(팔)를 지배하는 신경으로 완신경총에서 나와 상완심동맥과 함께 상완삼두근을 꿰뚫고, 상완골 후면을 비스듬히 하외측을 향해 벋어 팔꿈치의 외측부에 나타난다.(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의 골절 부위에 대해 폐쇄.. 2017. 5. 14. 수술중 신경손상으로 신경이식한 사건 의사는 의료행위를 할 때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의 조치를 취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 이런 주의의무는 의료행위를 할 당시 임상의학 분야에서 실천되고 있는 의료행위의 수준을 기준으로 삼되, 그 의료수준은 통상의 의사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또 시인되고 있는 이른바 의학상식을 뜻한다. 따라서 진료환경 및 조건, 의료행위의 특수성 등을 고려해 규범적인 수준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게 대법원의 판례다. 이번 판례는 낙상으로 좌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 및 요골 신경마비… 수술중 요골신경 손상으로 신경이식한 사건을 다룬 것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스키장에서 스키보드를 타던 중 낙상사고를 당해 피고 병원에 이송되.. 2017. 4.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