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착박리술12

디스크 신경성형술 후 통증, 마비, 배뇨장애 있다면 목(경추), 등(요추)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에 대해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신경박리술)을 받은 뒤 통증과 허리부터 발가락까지 하지마비, 마미증후군 등이 발생했다면 시술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을까?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신경박리술, 유착박리술)이란?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추간판 탈출증(디스크)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경막외 신경성형술은 척추뼈 사이의 구멍을 통해 병변 부위에 카테터를 삽입한 후 통증의 원인이 되는 부분을 찾아 유착된 부분을 풀어주고,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넓혀 신경 염증을 치료하는 시술법이다. 경피적 신경성형술로 인해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출혈, 일시적인 저혈압, 일시적인 호흡장애, 경련, 사지 저림, 배변이나 배뇨 장애, 마비, 감염 등이 있을 수 있다.. 2022. 12. 13.
마비성 장꼬임 폐색에 불필요한 수술하고 복막염 초래 피고 병원에서 마비성 장폐색(장꼬임) 진단 환자는 심한 복부 통증을 호소하면서 J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각종 검사 결과 위와 관련된 문제가 있거나 요관 결석 가능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해 원원하게 되었다. 환자는 심한 복부 통증을 호소하면서 피고 병원을 방문했고, CT 검사 등을 거쳐 마비성 장폐색 진단이 내려졌다. 장폐색 복강경 수술 후 지속적으로 통증 호소 환자는 피고 병원에 입원해 복강경과 복강경용 초음파절삭기 등을 이용해 소장, 대장, 위, 복막 사이에 유착된 부위를 박리하고, 그 과정에서 약해진 소장 부위를 봉합하는 위장관 유착박리술을 시행했다. 또 길이 약 15cm의 위벽을 위 내강 쪽으로 1회 집어넣어 주름을 만든 후 봉합하는.. 2022. 5. 30.
창자막힘 장폐색 수술 지연사건 창자막힘 장 폐색 수술 경과 원고는 11월 21일 갑자기 복통이 발생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복부골반 CT 검사를 받았다. 피고 병원은 판독 결과 창자 막힘(closed loop obstruction, 장폐색)으로 진단되자 22일 외과로 전과시켰다. 피고 병원 외과는 원고가 전과된 날로부터 8일이 지난 11월 30일 유착박리술 및 소장 부분절제술을 시행했는데 수술 당시 소장 80cm 정도가 괴사되어 있었고, 괴사에 따른 천공으로 복강 내부가 오염되어 있는 상태였다. 급성 신손상으로 혈액투석 원고는 12월 1일 급성 신손상으로 25일까지 혈액투석을 받았다. 원고는 중환자실에 입원했다가 일반병실로 이동했는데 그 후 장 마비 증상이 계속되고, 호흡곤란이 있는 등 상태가 악화되었다. 또 얼마 뒤 혈압이 8.. 2022. 1. 6.
환자 동의 없이, 불필요한 수술한 의사의 최후 이번 사건은 복부 통증 등을 호소하면서 내원한 환자에 대해 마비성 장폐색으로 진단하고, 곧바로 수술한 뒤 소장 등에 천공이 발생해 복막염으로 환자가 사망한 안타까운 사례입니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마비성 장폐색에 대해 응급수술이 필요했는지, 위 봉합술에 대해 환자의 동의를 받았는지, 수술후 응급상황이 발생한 환자에게 필요한 처치 내지 전원의무를 신속히 이행했는지 등입니다. 사건의 요지 환자는 약 10분 전부터 발생한 좌상 복부에 쥐가 나는 것처럼 심하게 당기면서 아픈 복부 통증을 호소하면서 J병원 응급실에 내원했습니다. 의료진은 이학적 검사와 혈액검사 등을 시행했는데 당시에는 발열 증상이 없었고, 장음 감소 소견이 있었습니다. 백혈구증가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의료진은 이런 검사 결과를 종합해 위장.. 2021. 6. 11.
난소낭종수술, 유착박리술 도중 천공으로 복막염 이번 사건은 난소 종양으로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낭종 절제술을 받은 뒤 S자 결장의 천공으로 복막염이 발생해 재수술을 받은 사안입니다. 이 사건의 쟁점은 △수술 중 장 천공을 발생시킨 과실이 있는지 △수술후 경과관찰을 소홀히 한 과실이 있는지 △지도설명의무를 위반했는지 등이 쟁점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복부 골반 CT 검사를 받았는데 3.3cm 크기의 좌측 난소 종양이 있다는 진단을 받자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낭종 절제술을 받았습니다. 난소낭종 절제술 과정 의료진은 난소낭종 절제술을 위해 배꼽 아래 부위에 1차, 2차로 트로카를 삽입하고, 유착박리술을 한 후 전기소작기와 겸자를 사용해 난소 낭종을 절제했다. 복강경 수술 후 경과 원고는 수술 후 피고 병원을 퇴원해 집으로 귀가한 당일 저녁부.. 2020.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