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급상황3 수면내시경검사 도중 응급상황 발생했다면? 수면내시경검사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프로포폴과 미다졸람을 빠른 속도로 투여하게 되면 호흡저하나 무호흡, 혈압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 수면유도제의 부작용인 호흡저하 또는 무호흡 증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대처를 하지 않으면 환자가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포폴과 미다졸람을 동시에 투여해 내시경검사를 하는 의사는 환자의 호흡저하 및 산소포화도 감소가 발생하면 환자의 자세를 바르게 한 후 신속하게 앰부 마스크와 앰부 백을 이용한 보조호흡을 하고, 기관내 삽관을 통해 충분하게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기관내 삽관을 한 후에도 저산소증이 지속되면 에피네프린 등을 조기에 투여해야 하며,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CPR(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조치를 취해야 할 업무상 주의의무가 있다. 수.. 2022. 9. 16. 브이백분만 도중 응급제왕절개술 했지만 식물인간…진료기록부 허위변조도 쟁점 브이백 예전에 제왕절개했던 산모가 자연분만을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는 한번 제왕절개를 받았던 산모들은 다음 번 출산도 반드시 제왕절개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미국, 유럽 등지에서 기존에 제왕절개를 받았던 산모들도 비교적 안전하게 질식분만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점점 브이백 분만이 성행하게 되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칼럼 이번 사건은 브이백 분만을 시도하다가 응급제왕절개술을 했지만 식물인간…브이백 결정, 진료기록부 사후 허위변조가 쟁점인 사안.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임신 39주경 양수가 새어 나오고 조기진통이 발생하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분만을 위해 입원했고, 피고 의료진은 경막외.. 2018. 12. 15. 수면무호흡 증상 확인하고도 수면내시경검사 해 뇌손상 초래 수면내시경검사 후 뇌손상 초래한 사건. 수면무호흡 증상 상급병원 전원, 응급상태 대비 등의 적절성이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피고 상고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위궤양 등으로 피고 의원에서 수면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피고는 후배인 외과 전문의 K에게 원고에 대한 얼굴 지방이식 수술과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를 함께 해 줄 것을 부탁했다. K는 우선 수면내시경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원고에게 프로포폴 4㎎을 투여한 뒤 수면 유도가 되지 않자 추가로 4㎎을 투여했다. K는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던 중 원고가 무호흡 증세(apnea)를 보이자 내시경 검사를 중단하고 응급조치에 나섰으나, 기도 확보를 하지 못하고 앰부배깅만 한 뒤 상급병원으로 전원했다. 원.. 2017. 9.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