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지장애14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응급처치 과실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뇌경색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80대 환자가 무릎 인공관절수술을 받은 뒤 혈압이 저하되더니 뇌경색이 발생해 인지장애, 보행장애가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수술 후 저혈압이 발생한 환자에 대해 의료진이 조직관류압을 회복시키기 위해 승압제 등을 투여하는 등 주의의무를 이행했는지 여부다.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뇌경색 발생 사건의 개요 당시 80대였던 원고는 양쪽 슬관절(무릎관절, knee joint)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다음 날 오른쪽 무릎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다. 원고는 1주일 뒤 피고 병원에서 좌측 무릎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오전 10시 50분 경 집중치료실로 옮겨졌다. 당시 원고의 의식은 명료한 상태였고, 혈압이 140/90mmHg 등을 기록하는 등.. 2022. 9. 5.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뇌손상으로 판마비, 인지장애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뇌손상으로 판마비, 인지장애 이번 사건은 비파열성 뇌동맥류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코일색전술을 하는 과정에서 혈관을 파열시켜 지주막하 출혈과 뇌손상을 초래해 편마비, 인지장애 등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뇌혈관조영술을 받은 결과 비파열성 뇌동맥류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에 피고 병원을 방문해 상담을 한 후 코일색전술을 받기로 결정했습니다. 원고는 좌측 중대뇌동맥 분지부위의 동맥류에 대해 코일색전술을 받은 뒤 좌측 안동맥 분지부위의 동맥류 치료를 위해 좌측 내경동맥에 풍선을 거치하고 코일을 삽입하던 중 좌측 내경동맥 부분을 파열시켰습니다. 그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자 의료진은 헤파린 중화 및 뇌압조절, 혈압강하를 시작했고, 신경외과 주치의에게 연락해 파열 부위를 코일로 막.. 2021. 4. 19.
치질수술 의사의 과실 아래 사건은 대장내시경와 치질수술을 한 의사의 주의의무와 관련한 것이다. 의사의 주의의무 수술 직전 대장내시경검사를 한 환자는 장세척과 설사를 했으므로 전해질 균형이 깨졌을 가능성이 높다. 또 전형적으로 치핵(치질) 제거수술 후에 발생하는 증상 이외의 증상이 있으면 간호사를 통해 연락을 받아 환자를 진찰해 증상의 원인을 찾기 위한 혈청 전해질검사 등을 실시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 외과 의사의 과실 외과 의사인 A는 오전 11시경 H씨에게 치핵제거 수술을 마쳤다. 그리고는 간호사에게 환자가 메스꺼움과 두통을 호소하면 미리 정해놓은 처방대로 수액과 약물을 투여하도록 한 후 퇴원했다. 환자는 같은 날 오후 2시 30분경 두통과 오심, 어지러움증, 가슴 통증 등을, 같은 날 오후 5시 경부터 .. 2020. 6. 17.
비중격만곡증 수술 과정에서 고혈압환자 금기약물 투여해 뇌출혈, 편마비, 인지장애, 실어증 비중격 만곡증 코의 중앙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콧구멍을 둘로 나누는 벽인 비중격이 휘어져 코와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거나 코막힘, 부비동염 등의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를 말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비중격만곡증에 대해 비중격성형술 과정에서 만성 고혈압환자 금기약물인 리도카톤을 투여해 뇌출혈 초래해 편마비, 인지장애, 실어증 초래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편위된 코사이막(비중격 만곡증)으로 피고 이비인후과에서 비중격 성형술을 받기로 했다. 피고는 수술을 위해 리도카톤을 이용해 원고의 비중격 점막하에 침윤마취하고, 수면유도제 미다컴을 정맥주사했는데 약 5분 뒤 원고의 혈압이 상승하고 안면경직, 저작근 경직과 함께 혀가 뒤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증.. 2019. 1. 3.
안면윤곽수술 중 뇌출혈, 뇌경색 초래한 과실 사건 사각턱수술, 광대뼈 축소술, 피질골 절제술 등 안면윤곽수술 중 측두골, 측두엽 부위를 골절 또는 손상시켜 뇌출혈 및 뇌경색 초래해 편마비, 인지장애, 시각장애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사실 원고는 피고 성형외과에서 안면윤곽수술(사각턱수술, 광대뼈 축소술, 피질골 절제술)을 받았다. 그런데 원고는 마취 종료 후 상당 시간이 지났음에도 의식을 회복하지 못해 119 구급대를 통해 A병원으로 전원했다. A병원 검사 결과 원고는 좌측 두부에 다량의 출혈이 발생했고, 개두술과 혈종제거술을 시행했는데 좌측 측두엽이 손상돼 출혈이 발생했고, 측두골이 골절되었으며, 경막이 손상된 상태였다. 병원은 개두술 및 혈종제거술을 시행했지만 뇌출혈과 이로 인한 뇌경색으로 좌측 편마비, 인지장애, 시각장.. 2017. 11.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