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궁동맥색전술4

분만 후 대량출혈 발생해 자궁적출술 분만 후 출혈 멈추지 않아 자궁동맥색전술, 자궁적출술 했지만 사지마비 이번 사건은 분만 직후 대량출혈이 발생해 혈장대용제, 자궁수축제 등을 투여했음에도 출혈이 계속되자 자궁동맥색전술, 자궁적출술 등을 시행했지만 뇌손상이 발생해 사지부전마비를 초래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임신 39주째 피고 병원에 내원해 12시 53분 경 2.9kg 남아를 분만했습니다. 그런데 오후 1시 56분 경 혈압 68/33mmHg, 맥박 102회/분, 패드에 500cc 가량의 혈괴가 관찰되었고, 오후 2시 산후드레싱 후에도 200cc 신선혈액 출혈이 있었습니다. 이에 의료진은 혈장대용제, 자궁수축제를 투여하고, 오후 2시 20분 수혈을 위한 혈액을 처방한데 이어 오후 2시 40분 자궁수축제 미소프로스톨을 질정에 삽입했습니.. 2021. 3. 5.
자궁동맥 색전술 중 폐부종 사망…동정맥루 진단 못하고 설명의무 위반 자궁동맥 색전술 중 색전물질인 '젤폼'을 주입한 뒤 폐동맥을 막아 폐부종으로 사망…동정맥루 진단 못하고 설명의무 위반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자궁경부 임신 12주 진단을 받고 항암성 종양제 MTX를 투여해 수정란을 고사시킨 후 소파술을 받기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당시 환자에게 자궁경부 앞쪽에 치우쳐서 착상된 태아가 발견돼 자궁경부임신 12주로 확인됐다. 병원은 오후 4시경 MTX를 투여하고, 다음날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하기 위해 혈관조영술을 하던 중 혈류가 많이 발달되어 있었고, 자궁동맥이 비대되어 있었고, 자궁 전반 특히 경부 부분에 과다혈관성 조직증강이 관찰되었다. 자궁근종 색전술[embolization of uterine myoma ] 자궁근.. 2017. 8. 16.
분만후 출혈로 뇌손상 사지마비, 자궁적출술 지연 과실 분만후 출혈 발생하자 자궁동맥색전술, 자궁적출술 했지만 뇌손상 사지부전마비…수술을 지연한 과실 인정.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원고 패, 2심 원고 일부승 기초 사실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남아를 분만한 직후 자궁 수축이 좋지 않자 의료진은 약물과 마사지를 시행하고 자궁동맥색전술을 시도했는데 좌측 자궁동맥에 대해서는 색전술을 시행했다. 하지만 우측은 혈관 연축 등으로 인해 색전술을 하지 못하자 대신 하둔근동맥 및 내장골 동맥 뒷분지에 대해 색전술을 시행했다. 자궁동맥색전술은 출산 후 자궁무력증에 의한 과다 출혈을 막는 치료법이다. 이후 피고 병원 의료진은 자궁적출술을 시행했고, 저산소성 뇌손상 소견이 관찰됐고, 사지 부전마비 등이 발생한 상태다. 원고 측 주장 원고가 대량 출혈이 발생한 상황에서 피고 병.. 2017. 5. 4.
분만후 산후출혈 지속돼 자궁적출, 난관 및 난소 제거 유도분만제 옥시토신 투입했는데 산후 출혈 지속…자궁적출, 난관 및 난소까지 제거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피고 E는 H병원에 근무하는 산부인과 전문의이고, 피고 F는 간호사다. 피고 병원은 원고가 분만차 입원하자 유도분만제인 옥시토신을 투입하고 점차 그 양을 증가시켰다. 피고 의료진은 분만이 끝난 후 원고의 회음부 절개를 봉합하고, 자궁수축제, 항생제 등을 투여했지만 산후출혈이 발생하였다. 그러자 의료진은 자궁경부 부위 열상을 봉합하고 지혈을 위해 거즈를 삽입했지만 출혈이 계속되자 수혈을 시행한 뒤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그 후에도 출혈이 멈추지 않자 I병원으로 전원시켰다. I병원은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했고 다음날 개복수술을 통해 복강내 혈종과.. 2017.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