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림4 요통, 방사통 허리 디스크… 수술 전 알아둘 점 허리 디스크 증상과 치료방법, 주의사항 허리 디스크(요추 또는 천추(엉치뼈) 추간판탈출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 통증인 요통과 하지 방사통, 다리 저림 등이다. 방사통은 디스크로 인해 다른 부위, 예를 들면 다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허리 디스크 증상이 있다고 해서 바로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치료를 할지는 의사가 MRI 등의 검사와 환자의 나이, 증상의 정도, 합병증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하는데 통상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한다.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선택적 신경근차단술 등을 고려하게 된다. 선택적 신경근차단술이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근 주위에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주입해 통증 신호를 차단해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방법이다. .. 2024. 2. 3. 요추추간판탈출증 수술후 마미증후군, 발기부전, 신경인성 방광 초래 마미증후군 요추의 마미신경총에 신경손상, 신경근 부종, 혈종의 압박, 혈관 손상, 혈액순환 부족 등이 원인이 돼 발생한다. 이번 사건은 의료진이 요추추간판 탈출증에 대해 후궁절제술을 하는 신경근을 손상시켜 마미증후군, 발기부전, 신경인성 방광을 초래한 사례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요추부 통증, 우측 엉덩이에서부터 장딴지 외측 부위까지 저림과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에 입원했다. 원고는 피고 병원에 입원하기 2년 전부터 뇌경색으로 인한 우반신 위약감과 부분 마비,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 피고 병원은 검사 결과 요추 2-3번 디스크가 위, 아래로 심하게 이동돼 있고, 디스크 탈출 정도가 매우 크고 딱딱해져 있자 신경근병증을 동반한 요추추간판 탈출증 진단 아래 .. 2018. 12. 3. 디스크, 척추공 협착증 수술중 신경 손상으로 성대마비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및 척추공 협착증으로 척추 골유합술과 나사못 고정술을 하는 과정에서 후두신경을 손상, 성대마비를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우측 목부터 어깨까지의 통증, 우측 견갑골부터 상박부까지의 심한 저린 통증 증을 호소했다. 의료진은 경추 4-5번, 5-6번, 6-7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및 척추공 협착증으로 진단하고 경추 5-6번 골유합술(1차 수술)을 했다. 원고는 수술후 퇴원했지만 다시 우측 어깨, 견갑골 부위의 통증 등을 호소했고, 다시 피고 병원에 입원해 경추 6-7번 골유합술 및 경추 5-6-7번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했다. 원고는 수술후 쉰 목소리가 나오는 증상이 발생했고, 후두내시경.. 2017. 10. 29. 연골파열 봉합술 과정에서 비골신경 손상해 다리 통증, 저림…압박스타킹 착용도 쟁점 연골파열 봉합술 과정에서 비골신경을 손상한 사건.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작업중 오른쪽 무릎을 삐끗해 우측 슬관절에 통증이 있자 피고 병원에서 약물치료를 받다가 MRI 검사에서 우측 슬관절 반월상 전각부 연골파열 진단을 받았다. 이에 피고 병원 의료진으로부터 관절경하 우측 슬관절 외측 전각부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을 받았다. 의료진은 3일후 부목을 제거하고 4일 후 물리치료를 시행했는데 환자는 그 뒤 우측 슬관절 통증 및 발목 부종, 심한 다리 통증, 저림, 피부색 변화, 체온 저하 등을 호소했다. 의료진은 압박스타킹을 적용하고 약물치료를 한 뒤 봉합제거술 및 외측 반월상 연골제거술을 했지만 통증과 저림 등이 계속됐고, 검사 결과 비골신경 손상 진단을 받았다... 2017. 10.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