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이암5 환자가 주의할 항암제, 말기암 부작용 증상 항암치료 증상과 환자가 주의할 점 항암치료는 소화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양한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항암치료 과정에서 겪게 되는 부작용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설사가 심하거나 변비로 고통받는 환자가 적지 않다. 항암치료로 인한 증상은 다르지만 탈수와 영양 결핍이 축적되면 체중이 줄어들고, 기력이 저하되어 항암제 용량을 줄여야 하거나 치료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설사가 심하다고 해서 단순히 지사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면 상태를 오히려 악화시킬 수도 있다. 또 변비가 심하면 복부 불편감 또는 참기 힘든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식욕 감퇴를 유발해 탈수 증세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부작용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항암치료로 인한 고통을 줄일 .. 2024. 4. 5. 전이암 중요 약관 설명 안했다면 일반암 보험금 지급 사건의 요지 A씨(여, 60대)는 2016년 1월과 9월 L손해보험사의 통신판매 보험상품 2건에 가입했다. 이후 2018년 5월 ○○병원에서 갑상선암(C73)과 갑상선 전이암(C77)을 진단받고 암보험금을 청구했다. 하지만 보험회사는 해당 보험약관에 따라 최초로 발생한 갑상선암이 소액암이므로 소액암 보험금만 지급하겠다면서 갑상선 전이암(C77)에 대한 일반암 보험금의 지급을 거부했다. 해당 보험약관의 내용 중 유의사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지침서의 ‘사망 및 질병이환의 분류번호 부여를 위한 선정준칙과 지침’에 따라 C77~C80(불명확한, 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악성신생물(암))의 경우 일차성 악성신생물(암)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원발부위(최초 발생한 부위)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L손해보험회사는 전이암(.. 2020. 6. 21. 말기암, 전이암을 산삼약침으로 완치한다? 산삼약침이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주장하는 일부 한의사들의 공통점 #1. 전이암, 말기암, 모든 암, 심지어 모든 질환에 효과? “간암이 전이된 환자가 산삼약침 치료를 받고 3개월 만에 완치” “산삼약침 말기환자 생존율 40% 이상” “암세포만 죽이고, 면역세포는 활성화시켜 놀라운 표적항암치료로 생존율을 높인다” 이런 치료효과가 낼 수 있다면 노벨의학상은 따놓은 당상일텐데 왜 병원 홈페이지나 블로그에서만 요란하게 치료효과를 광고하시는지? #2. 완치사례를 보여주는 before, after CT 사진들 그러나 이 분야 전문가인 영상의학과 전문의들이 이런 완치 및 호전사례에 동의하지 않는다. 모 한방병원이 산삼약침 광고를 하면서 수많은 완치 및 호전사례를 게시한 A한방병원. 간암말기환자의 아들은 이 광고를 보고.. 2019. 2. 25. 유방암 수술 후 방사선치료 하지 않은 것을 뒤늦게 인지해 전이암 유방암으로 유방부분절제술을 집도한 의사가 유방전절제술을 한 것으로 오인하고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것을 뒤늦게 인지해 전이암 판정.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환자는 좌측 유방 부위에 덩어리가 만져지는 느낌이 들어 피고 병원에 내원하여 유방암을 진단 받았다. 환자는 좌측 유방 부분절제술 및 액와 임파선 곽청술을 시행받았는데 병기는 ΙΙB기(T2N1M0)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그 뒤 총 6차례에 걸쳐 피고 병원에 단기 입원하여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았고, 그 후에도 정기적으로 피고 병원에 외래로 내원하여 추적검사를 받았다 그런데, 유방암 수술을 집도하였던 피고 의사는 환자가 부분절제술을 받았는데도, 유방 전절제술을 시술한 것으로 오인하여 외래진료하면서 외래진료기록지에 유방 전절제.. 2017. 12. 3. 간종양을 간혈관종으로 오진해 간암 치료기회를 상실케 한 의료과실 피고 병원이 MRI 검사 영상을 판독함에 있어 간암과 간혈관종을 모두 고려하지 않은 채 간혈관종이라고 확진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진단과실) 판결: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지속된 요통과 무릎 통증으로 피고 1병원에서 요추 2번 부위 폐쇄성 골절, 척추의 여러 부위 아래 허리 통증, 아래다리 관절통 진단을 받았다. 환자는 장시간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이 없자 피고 1병원에서 척추체 성형수술,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았다. 그런데 피고 1병원은 복부 초음파검사, CT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간 혈관종(Hemangioma) 및 담석증을 발견하고, 피고 2병원에 진료를 의뢰했다. 피고 2병원은 복부 간 MRI 검사를 토대로 악성 간종양이 아닌 간혈관종으로 최종 진단하고, 그 결과 특별한 처방이 필요없.. 2017. 3.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