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이염4

귀 고름 만성중이염 수술 후 난청, 이명 등 부작용 중이염 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일반적으로 중이염 수술을 하는 의사는 환자의 뇌신경들이 다치지 않도록 환자의 CT 사진을 면밀히 검토하고, 안면신경 주행경로를 예측해 안면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수술 과정에서 안면신경이 손상되면 안면신경마비가, 과도한 이소골 조작을 하면 청각상실이, 미로가 손상되거나 과도한 이소골 조작의 경우 심한 전정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중이염 수술 후 부작용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만성중이염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는 과정에서 의료진이 안면신경을 손상해 안면 근력 저하, 난청, 이명 등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안면신경, 청각신경 등을 손상하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수술에 앞서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행.. 2022. 9. 26.
중이염수술 부작용사건 사례1. 중이염 수술후 안면마비 중이염수술 후 부작용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중이진주종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은 직후부터 좌측 안면마비 증상이 발생해 안면신경감압술을 받았지만 안면표정근육이 마비되는 증상이 남아있는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피고 병원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주의의무를 위반해 신경을 손상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중이염 수술 후 안면마비 사건의 개요 중이염 수술 후 좌측 안면마비 발생 원고는 난청과 인후통으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좌측 중이진주종(중이염) 진단을 받고 중이근본수술(좌측 이소골성형술, 상고실개방술, 유양돌기절제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직후 좌측 안면마비 증상이 발생했다. 이에 원고는 당일 같은 의사로부터 안면신경감압술을 받았지만 안면 불완전마비로 안면표정근육이 마비되.. 2022. 9. 1.
뇌수막염 증상 있었지만 사건의 요지 이번 사례는 소아가 지속적으로 고열과 처짐 등으로 여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뒤늦게 세균성 뇌수막염 진단을 받아 치료했지만 사망한 안타까운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소아를 진료한 의료기관들이 세균성 뇌수막염의 조기 진단 및 치료 시기를 놓은 의료상 과실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인정 사실 원고들은 소아가 생후 6개월 무렵부터 기침, 가래, 콧물 등의 증세를 보이다가 발열, 구토, 설사 증세를 보이자 피고 D병원으로 갔습니다. 담당 의사는 급성 기관지염, 급성 위장관염 및 급성 중이염으로 진단하고 입원 결정을 했습니다. 피고 D병원은 입원 기간 일반혈액검사, 알레르기검사 등을 시행한 결과 가벼운 빈혈 소견을 보였습니다. 또 감염, 손상, 염증, 악성 종양의 급성기에 나타나는 단백수치는 양성 .. 2021. 9. 5.
소아 뇌수막염을 급성 기관지염·중이염·감기로 오진해 패혈증으로 사망 (뇌수막염 미진단 과실)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원고는 생후 6개월 된 K가 기침, 가래, 콧물 등의 증세를 보이다가 발열, 구토 증세를 보이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급성 기관지염, 급성 위장관염 및 급성 중이염 진단을 받고 입원 치료를 했다. 원고는 K가 입원한 기간 병원 벽에 붙어 있는 포스터를 보고 뇌수막염이 아닌지 문의하기도 했지만 의료진은 정상 체온을 회복했고, 기침, 설사 증상이 호전됐다고 판단해 약을 처방하고 퇴원 조치했다. 원고는 퇴원 후에도 열이 계속 나자 피고 병원에 입원을 문의했지만 병실이 없다는 취지의 설명을 듣고 F병원에 이어 피고 G대학병원에 내원한 결과 급성 인두편도염 및 감기로 진단하고 귀가시켰다. 하지만 K는 잠만 자려 하고 쳐져 있고, 동공반사가 .. 2017.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