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체장애4 임신성 당뇨 방치해 거대아 출산 후 언어장애, 지체장애 빈혈과 임신성 당뇨 증상 발생 원고는 G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아왔는데 혈액검사 결과 혈색소 수치가 8.5g/dL로 참고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태로 확인되는 등 빈혈 증상이 있었다. 또 혈중 당 수치가 294mg/dL로 참고치인 70~140mg/dL에 비해 현저히 높아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증상도 있었다. 원고는 임신 35주차에 피고 병원에 처음 내원했는데 당시 몸무게는 77.7kg이었다. 원고는 피고에게 G산부인과에서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 및 50g 당부하검사 결과를 알려주었다. 이에 피고 의사는 원고를 빈혈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한 후 빈혈이 지속될 경우 그에 대한 치료를 할 예정이라는 점과 심인성 당뇨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했다. 원고는 임신 36주차.. 2022. 6. 2. 장폐색 의심해 항생제 처방했지만 뇌손상…수막염 진단, 경과관찰 분쟁 뇌수막염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id space, 거미막하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의미한다. 염증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거미막밑공간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수막염이지만, 특정 화학 물질에 의한 염증, 암세포의 뇌척수액공간으로의 파종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등이 있을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지체장애자에 대해 기계적 장폐색을 의심해 세프트리악손 등을 처방했지만 뇌수막염으로 저산소성 뇌손상.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환자는 고열, 복부팽만 등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에 입원했고, 의식은 명료했지만 지체장애로 인해 직접 의료진에게 본인의 증상을 명확하게 표현하.. 2019. 1. 28. 미숙아 카테터 삽입 후 피부 괴사 발생 신생아에게 동맥 카테터를 삽입할 때 일반적으로 출생 직후에는 제대동맥을 이용하고, 제대동맥을 제거한 후에는 요골동맥이나 척골동맥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상완동맥은 추천되지 않는다. 이는 손목 양쪽으로 나란히 주행하는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은 하나가 막혀도 다른 동맥과 아래쪽에서 연결돼 말초조직으로 혈류가 공급될 수 있지만 상완동맥이 분지해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이 되므로 상완동맥이 폐쇄될 경우 팔 아래쪽으로 가는 혈류가 전부 차단돼 손과 팔에 괴사가 올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은 미숙아에게 상완동맥 카테터를 삽입한 뒤 피부 괴사로 괴저가 발생해 우측 전완부 절단수술한 사례.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출생 당시 재태기간 28주 4일의 미숙아였고, 피고 .. 2018. 9. 20. 흉곽출구증후군 수술후 상완신경총 손상 지체장애 초래 대법원은 수술 도중이나 수술후 의료상의 과실 이외의 다른 원인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간접사실들이 증명되면 그와 같은 증상이 의료상의 과실에 기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흉곽출구증후군 수술 과정에서 상완신경총을 과도하게 견인해 상완신경총 손상과 이소성 골형성으로 지체장애 초래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오른손이 차고 저리는 감각이상 증세가 나타나 피고 병원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았다. 원고는 팔꿈치 부위의 만성 척골신경병증 진단을 받았고, 혈관조영술 검사에서 우측 쇄골하동맥이 쇄골과 제1번 늑골을 지나면서 혈류가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 관찰돼 흉곽출구증후군 진단을 받았다. 흉곽출구 증후군 흉곽 위쪽 구조물에 의하여 쇄골(빗장뼈).. 2018. 8.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