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료비18

위암 증상과 수술 비용, 산정특례 활용법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악성 종양(신생물)이며,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다. 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90% 이상은 위 점막에서 생기는 위선암(adenocarcinoma)이다. 그 외에 악성림프종, 위장관간질성종양, 육종 등이 위암 범주에 들어간다.  위암 증상은 암이 진행되면서 상복부 불쾌감, 팽만감, 속 쓰림, 소화불량, 메스꺼움, 구토(오심), 복통, 체중 감소, 피로, 흑색 변,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면 뒤늦게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위암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 건강검진에서 내시경검사를 받아야 한다.  위암 초기에는 내과에서 내시경 점막하박리술(ESD, 시술.. 2024. 8. 13.
뇌종양 치료 비용과 본인부담상한제 활용 뇌종양은 뇌에서 발생하는 양성 또는 악성 종양을 모두 포함한 말이다. 뇌와 뇌하수체, 두개인두관, 천막상, 천막하, 뇌신경, 뇌하수체에 생긴 악성 신생물, 두개인두관의 양성 신생물이 모두 뇌종양에 들어간다. 질병코드는 C71, C751, C752, D330~D333, D352, D353이 여기에 해당한다.  뇌종양의 일반적 증상은 단순한 두통에서 간질, 구토(오심) 등 다양하다. 지속적으로 두통, 시력 장애, 안면신경 마비 등이 발생한 경우 뇌종양을 의심하고 신속하게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뇌종양 1인당 진료비뇌종양 환자는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뇌종양 양성 또는 악성 환자 수는 2018년 5만 1840명에서 2020년 5만 8,222명, 2022년 6만 7,424.. 2024. 8. 9.
대장암 증상과 수술 등 치료비, 산정특례 대장은 충수, 맹장, 결장, 직장, 그리고 항문관으로 나뉘며, 결장은 다시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S)상 결장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맹장,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 대장암이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선암(샘암), 즉 점막의 샘세포에 생긴다. 그 밖에 림프종, 신경내분비 종앙인 악성 유암종, 평활근 육종 같은 것이 원발성으로 생길 수 있다. 대장암 질병 명칭은 결장의 악성 신생물(질병 코드 C18), 직장 구불 결장접합부의 악성 신생물(C19), 직장의 악성 신생물(C20), 결장의 제자리암종(D010), 직장 구불 결장접합부의 제자리암종(D011), 직장의 제자리암종(D012) 등이다.  대장암 발병의 위험요인은 50세 이상의 연령, 붉은 육류 및 육가공품의 다량 섭취, 비만, 음주.. 2024. 8. 5.
진료비 본인부담상한제에 따른 2024년 상한액 건강보험공단 2024년도 본인부담상한액 안내 건강보험공단이 2024년도 본인부담상한액을 발표했다. 2024년도 소득분위별 본인부담상한액은 1 분위가 87만 원, 2~3 분위가 108만 원, 4~5 분위가 167만 원, 6~7 분위가 313만 원, 8 분위가 428만 원, 9 분위가 514만 원, 10 분위가 808 만원이다.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입원자의 경우는 1 분위가 138만 원, 2~3 분위가 174만 원, 4~5 분위가 235만 원, 6~7 분위가 388만 원, 8 분위가 557만 원, 9 분위가 669만 원, 10 분위가 1050만 원이다. 진료비 본인부담상한제란? 본인부담상한제도는 과도한 의료비로 인한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건강보험 가입자가 1년간 부담한 본인 일부 부담금(비.. 2024. 1. 18.
환자가 퇴원요구에 불응해 퇴원 거부사건 탈장인공막 제거술을 받은 환자가 퇴원요구에 불응해 퇴원 거부하자 법원이 진료계약이 해지되었다며 병실인도 및 진료비 계산 판결한 사건. 사건: 병실명도 및 진료비 등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피고는 원고 병원에서 복강경 절개탈장교정술을 받고 퇴원한 후 감염증상으로 보존적 치료를 받다가 다시 원고 병원에 입원하여 탈장인공막 제거술을 받았다. 피고의 입원 당시 작성된 입원약정서에는 ‘귀 의료기관에서 제시한 제반규칙을 준수함은 물론, 치료와 퇴원 등 의사 및 간호사(또는 직원)의 정당한 지시에 따르겠습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원고 병원은 피고에 대한 입원치료가 더 이상 실익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치료가 종결되어 입원할 필요가 없으니 퇴원해 달라고 요구하였으나 피고들은 탈장 재발 .. 2017.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