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음파검사13

뇌졸중 검사와 약물 투여, 수술 방법 뇌졸중 증상과 진단검사, 치료 뇌졸중은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생기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나눠지고, 손상된 뇌 부위에 따라 반신마비, 언어장애, 두통, 어지러움, 보행장애, 시야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뇌졸중이 심하면 의식이 혼미해져 발병 초기 사망할 수도 있다.  아래 사례를 통해 뇌졸중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어떤 검사를 받게 되는지, 수술 방법,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을 알아본다.  뇌졸중 발생해 뇌수술A는 새벽에 갑자기 시야장애가 발생하자 G 병원에 내원해 신경외과 외래 진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뇌졸중(CVA)이 의심되면 뇌 CT, 뇌 MRI 검사를 실시한다. 또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MRA) 검사를 통해 뇌혈관장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밖에도 뇌기능이 정.. 2024. 4. 27.
갑상선 결절, 암, 낭종 진단검사, 수술 대상 갑상선 결절 검사방법과 환자가 알아야 할 점 갑상선 결절은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데 나이가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높고,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갑상선학회에 따르면 갑상선암 고위험군은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가족 중에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거나, 갑상선 결절이 딱딱하게 만져지거나, 결절의 크기가 빠르게 커지거나, 쉰 목소리를 동반할 경우 등이다. 갑상선 검사 방법 갑상선 초음파 검사는 방사선 피폭 없는 매우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로서 갑상선암 고위험군은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병원에서 1cm 이상의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우선 혈액검사인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해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성 결절인 경우 갑상선암 가능성이 낮다.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으면서 촉진되는 비기능성 고형 결.. 2024. 4. 22.
병원이 방심한 찰나 검사실 침대에서 낙상사고 이번 사건은 혈소판 감소증 소견이 있는 환자를 상대로 심장초음파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낙상사고가 발생해 뇌출혈로 인해 혼수상태, 사지마비 상태에 이른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낙상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진료계약상 환자보호의무를 다했는지와 낙상 이후 처치 과정에서 과실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과거 뇌졸중으로 인해 좌측 부전마비 증상이 남아있어 왼팔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입니다. 또 심장판막치환술을 받은 후 와파린을 지속적으로 투여해 오던 중 오한, 오심, 위통, 고온으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하게 되었습니다. 원고는 응급실 도착 직후 의식이 흐려지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전신 쇠약감을 호소했습니다. 낙상 사고의 발생 의료진은 혈액검사 결과 혈소판 감소증 소견이 있고, 혈액응고검사 수치.. 2021. 8. 31.
임신후 산부인과에서 매독을 치료하지 않아 조산아 사망 임신 매독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사진: pixabay 기초사실 원고는 임신후 혈액 및 소변검사를 받았는데 RPR(매독혈청진단법) 검사에서 Reactive(2.65), Titer(1:32)가 나왔고, 자궁경부암 검사에서 Candida 감염이 발견됐다. 원고는 피고 산부인과에서 산전검사 결과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나왔고, 초음파검사를 받을 때마다 산모와 태아 모두 건강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원고는 다른 산부인과의원에서 채혈 및 임신성당뇨검사를 받았는데 검사 결과 매독 확진 결과가 나왔다. 원고는 페니실린 등을 이용한 치료를 받았는데 태아의 심박수가 계속 떨어져 응급 제왕절개수술을 받았지만 조산아는 며칠 후 사망했다. 원고의 주장 피고는 RPR 검사결과 이상 반응이 나왔음에도 이를 무시하거나 발견하지 .. 2017. 11. 27.
자궁내 물혹제거수술 후 신장기능을 완전소실해 신장 적출 자궁내 물혹제거수술 후 신장기능을 완전소실해 신장 적출. 요관손상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적절히 시행하지 않은 과실로 인해 요관협착을 발견하지 못했는지 여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임기구를 삽입하기 위해 D병원에 내원해 초음파검사를 받았는데 그 과정에서 자궁내 물혹(좌측 낭성부난관 종괴)이 확인돼 진행경과를 관찰했다. 원고는 2010년 8월 자궁내 물혹 제거수술을 받고 퇴원했고, 이후 초음파검사 결과 복강 내 복수가 확인돼 피고 E병원 산부인과로 전원했다. 피고 E병원 산부인과 의료진이 검사한 결과 암세포는 없었고, 혈액검사상 신장기능에 이상소견은 없었지만 염증수치가 높게 나와 항생제를 투여한 후 경과를 관찰했다. 피고 병원 소화기내과 의료진은 복수의 원인을 복.. 2017.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