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아곤란증31 태아곤란증 가사 상태 놓친 산부인과의 5대 과실 태아곤란증(태아가사) 상황 의사의 주의의무 일반적으로 태아의 심박동수가 분당 30~40회 정도로 감소하면 저산소증으로 인한 태아곤란증을 의심할 수 있다. 태아곤란증은 저산소증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을 말한다. 의료진은 태아에게 가사 상황이 발생하면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산소 공급 등의 조치를 취하고, 그럼에도 상황이 호전되지 않으면 응급제왕절개수술을 시행해 태아를 조기에 만출 시켜야 한다. 아래의 사례는 출산 과정에서 태아에게 태아가사 의심증상이 발생했음에도 질식분만을 한 결과 신생아에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이번 사례를 통해 분만을 담당하는 의사가 세밀한 경과관찰,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조치, 충실한 설명과 같은 주의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하지 않으면 얼마나 심각한 문제.. 2022. 11. 18. 심장박동 감소, 서맥 등 태아곤란증 진료 의사 의무 태아곤란증(태아 가사) 태아곤란증은 태아의 산소가 부족해 가사 상태에 빠진 것을 의미한다. 출생 후 가사를 신생아 가사라고 한다. 만기태아의 심박동 감소, 제대압박, 지속성 태아 서맥(120회/분 이하), 빈맥(160회/분) 등 태아심박동의 양상 및 이상이 있거나 양수에 태변착색이 확인되면 태아곤란증을 의심해야 한다. 의사는 분만 진통 중 태아에게 태아곤란증 발생이 예견될 때에는 태아와 산모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옥시토신 투여를 중단하고 임산부의 체위 변경, 수액 주입, 산소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래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유도분만을 중단하거나 제왕절개술 등도 고려해야 한다. 태아곤란증 의심 될 때 의사의 주의의무 분만을 진행하는 의사가 태아곤란증 의심 상황을 조기에 진단하고 필요.. 2022. 11. 5. 심장박동수 확인 안해 태아곤란증으로 신생아 뇌성마비, 사지마비 제왕절개분반 후 태변 착색 등 확인 원고는 임신 39주 3일째 출산을 위해 오전 11시 30분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피고 병원 산부인과 의사는 오후 9시 태아에게 지속성 태아심박동감소(prolonged deceleration) 소견이 있다며 제왕절제수술을 시행해 오후 10시 원고 C를 출생시켰다. 출생 당시 원고 C는 진한 태변 착색이 있었으며, 탯줄이 2회 감겨 있었고, 1분 아프가점수는 5점, 5분 아프가 점수는 6점으로 측정되었지만 움직임이 부족한 등 상태가 좋지 않았다. (다만 법원의 사실조회 결과 아프가 점수가 1분에 3점으로 측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아프가 점수 아프가 점수는 태아가 태어난 후 1분, 5분에 심장박동수, 호흡, 자극반응, 근력 및 피부색깔을 평가해 점수를 합한 것이다. 5.. 2022. 6. 28. 태아곤란증, 태변흡인증후군에 대한 조산사, 의사 과실 태아빈맥 상태 불구 귀가 조치 원고는 초산모로 임신진단을 받고 임신 27주부터 피고 병원에서 정기적으로 산전진찰을 받아왔다. 원고는 임신 41주차에 분만진통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에 내원했는데 당직근무중이던 조산사는 원고에 대해 내진 및 NST 검사 후 불규칙한 진통으로 입원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해 귀가 조치했다. 당시 태아심박동수는 분당 160~175회로 태아빈맥에 해당하는 상태였다. 빈맥은 심장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으로 빨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내원한 당시에도 빈맥상태 원고는 같은 날 오후 8시 30분 경 분만진통으로 다시 피고 병원에 내원했고, 조산사는 분비물 검사 결과 태변이 섞인 양수가 나온 것을 확인하고 항생제를 투여하며 경과관찰했다. 당시 NST상 태아심박동수는 지속적으로 빈맥상태였고.. 2022. 5. 13. 신생아 태아곤란증 뇌성마비 자연분만 위해 피고 산부인과 입원 원고는 초산모로서 자연분만을 위해 오후 4시경 피고 산부인과에 입원했다. 당일 오후 5시 45분 경 자궁개대 3cm, 자궁경관소실도 85%, 태아하강도 –2, 양막파수, 오후 6시 30분 경 자궁개대 5cm, 소실도 90%, 태아하강도 –1, 오후 7시 15분 경 자궁개대 8cm, 태아하강도 0인 상태였고, 오후 7시 45분 자궁이 완전히 개대되었다. 흡입분만으로 신생아 분만 이후 의료진은 자연분만을 시도하다가 금속흡인기를 이용한 흡입분만을 시도했고, 오후 8시 35분 경 흡입분만으로 3.64kg인 신생아를 분만했다. 신생아는 출산 직후 활발한 울음이 없어서 의료진이 앰부배깅을 했고, 태변흡입증후군이 의심되자 구강 및 기관내 이물질을 제거했다. 의료진은 신생아의 상태가 .. 2022. 1. 26.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