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증유발점주사3

디스크, 만성통증 통증유발점주사 유의할 점 근육 통증유발점주사 치료 대상, 환자 주의사항근육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주로 몸을 움직이는 역할을 하지만 잘못된 자세, 습관, 특정 동작을 반복적으로 움직일 때나 근육의 과도한 수축과 이로 인한 국소 혈류 순환 장애로 뭉치면 통증을 유발한다.  근육 통증유발점주사(근막주사, TPI) 혹은 근막통증 주사치료는 근육이 뭉쳐 통증을 일으키는 근막통증증후군 위치를 찾아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다.  근막통증증후군은 굉장히 흔하며 어깨가 결리거나 허리가 아픈 사람들 대부분이 여기에 속하거나 이 질환을 동반하게 된다.  또 통증유발점주사는 염증 수치를 낮춰 만성 통증을 완화하는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 방법이다.  통증유발점주사는 신체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뭉치거나 수축된 근육 섬유 통증유발점에 통증을 완화하고, .. 2024. 5. 9.
TPI 통증유발점주사 후 기흉 발생 흉통환자 통증유발점주사 후 기흉 발생, 전원도 지연 이번 사건은 교통사고를 당해 흉추 4-5번 골절상을 입은 뒤 통증이 계속되자 병원에서 흉부 부위에 통증유발점주사, 일명 TPI 치료를 받은 뒤 기흉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의료진의 술기상 과실로 환자에게 기흉이 발생했으며, 의료진이 막연하게 환자의 상태가 위중하지 않다고 판단해 상급병원 전원을 지연한 과실도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교통사고를 당해 흉추(등뼈) 4-5번 골절상을 입었고 통증이 계속되자 3개월 뒤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에 내원했는데요. 피고 병원 신경외과 의사는 당일 원고의 좌측 흉부 부위에 통증유발점주사(TPI, Trigger Point Injection) 치료를 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현기증과 호흡곤란 증.. 2021. 1. 6.
경막외 신경차단술 중 경막 천공 교통사고 환자에게 경추 경막외 신경차단술 중 주사바늘 조작 실수로 경막 천공해 공기와 조영제 유입 시킨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교통사고 후 발생한 목과 오른쪽 어깨 통증으로 치료를 받다가 피고 병원에 내원해 통증 유발점 주사요법을 받았다. 다시 내원해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의 저항소실법으로 주사바늘을 경추 7번과 흉추 제1번 사이에 진입시킨 후 조영제인 텔레브릭스를 투여했다. 그후 피고 병원은 탐세톤 40mg, 0.2% 메피바카인, 히알루로니다아제 합계 3cc를 주입하는 내용의 경추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했다. 피고는 위와 같이 주사바늘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C자형 영상증강장치(C-arm)를 사용했고, 이 사건 시술 과정에서 경막 천공이 발생했고.. 2017.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