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허혈성심장질환4

협심증, 심근경색 증상 환자가 알아야 할 점 허혈성 심장질환 종류와 환자가 주의할 점 심장이 정상적인 펌프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혈액이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렇게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해 주는 혈관이 관상동맥이다. 그런데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허혈성 심장질환이라고 부른다. 허혈이란 동맥이 좁아져 혈액 유입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인자는 고지혈증, 흡연,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이 있다. 임상적으로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등이 대표적인 허혈성 심장질환이다. 협심증 협심증은 관상동맥 혈관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이 쌓이거나 혈전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면서 심장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할 때 .. 2024. 2. 13.
협심증 심근경색 증상, 관상동맥우회술 1등급 병원 허혈성 심장질환이란? 기온이 떨어지면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상승하면서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 주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게 심근경색증과 협심증, 돌연사 등이다. 이중 심근경색증은 혈관이 갑자기 막혀 심장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어가는 질환이다. 심장근육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되지는 않았지만 혈관이 좁아져 산소 공급이 감소하고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심근경색, 협심증의 대표적 증상 허혈성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짓누르는 듯한, 쥐어짜는 듯한 갑작스러운 가슴통증, 식은 땀, 구토, 현기증, 팔이나 어깨로 방사되는 통증 등이다. 주된 증.. 2022. 11. 30.
위장질환으로 오진해 심장질환 조치 안한 과실 환자가 지속적으로 가슴통증, 흉부작열감, 속쓰림 등을 호소하고, 심근경색을 비롯한 허혈성 심장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있었음에도 위장질환 관련 약제들만 투약한 사건. 정밀진단 및 상급병원 전원의무가 쟁점인 사건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가슴통증, 흉부작열감, 속쓰림 등을 호소하면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1차 내원 당시 환자의 혈압은 211~107mmHg, 심박동수 109회, 호흡수 20회, 체온 36도였다. 의료진은 1차 심전도검사를 실시했는데 ST분절의 상승과 T파 역위가 나타나자 자동진단결과로 급성심근경색, 심장전벽손상, 동성빈맥(1분간 심박동수가 100회 이상인 경우를 의미)이라고 기재했다. 의료진은 환자를 소화성위궤양으로 진단하고 알마겔을.. 2020. 6. 21.
심근경색 등 심장질환 증상이 있었지만 위장질환약만 투여한 의료과실 의사는 전문 직업인으로서 요구되는 의료상 윤리와 의학지식 및 경험에 터 잡아 위험한 결과 발생을 예견하고 그 결과 발생을 회피하는데 필요한 최선의 주의의무가 있다. 또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하거나 그런 조치를 취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다면 신속하게 다른 병원으로 전원조치해야 한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가슴통증, 흉부작열감, 속쓰림 등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1차 심전도검사에서 급성심근경색, 심장전벽손상, 동성빈맥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의료진은 소화성위퀘양으로 진단해 약을 처방한 뒤 내시경검사를 권유하고 귀가조치했다. 환자는 다음날에도 같은 증상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에 2차 내원했고, 의료진은 위식도역류질환과 위궤양으로 진단한 후 알마겔을 처방했다... 2018.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