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협심증, 심근경색 증상 환자가 알아야 할 점

by dha826 2024. 2. 13.
반응형

허혈성 심장질환 종류와 환자가 주의할 점

심장이 정상적인 펌프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혈액이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렇게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해 주는 혈관이 관상동맥이다.

 

그런데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허혈성 심장질환이라고 부른다. 허혈이란 동맥이 좁아져 혈액 유입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인자는 고지혈증, 흡연,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이 있다. 임상적으로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등이 대표적인 허혈성 심장질환이다.

 

협심증

협심증은 관상동맥 혈관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이 쌓이거나 혈전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면서 심장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협심증 증상은 가슴의 중앙부에 발생하는 통증이나 불쾌감, 답답함, 가슴이 조여드는 느낌, 쥐어짜는 것 같은 느낌 등이다.

 

갑자기 뛰거나, 운동할 때, 흥분할 때 발생할 수 있다. 혈관 협착에 의해 관상동맥의 70% 이상이 막히게 되면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협심증이 생길 수 있다.

 

협심증, 심근경색 증상과 치료
협심증, 심근경색 증상과 치료

 

협심증 종류

협심증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안정성 협심증은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 생기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다. 주로 계단을 오르거나 달리는 등 운동이나 심한 감정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가슴에 불편한 느낌을 주게 된다.

 

하지만 이런 증상은 휴식을 취하거나 협심증 약인 니트로글리세린 같은 약물을 복용하면 호전된다.

 

불안정성 협심증은 혈전이 생겨 급작스럽게 협착이 심해져 생기는 것으로 예측할 수 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협심증이다. 가슴 통증이 전형적인 협심증보다 심하고, 오래 지속된다. 동맥경화증에 의해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근육에 혈액 공급이 감소하는 것이 원인이다.

 

협심증 치료

협심증은 약물요법과 혈관을 넓혀주는 심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관상동맥우회로수술 등으로 치료한다.

 

약물요법은 아스피린, 혈관확장제 니트로글리세린, 베타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칼슘 통로 억제제 등이 있다.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은 막히거나 좁아진 혈관 안으로 도관을 삽입해 뚫는 것이고, 관상동맥우회로수술은 스텐트 삽입이 여의치 않을 때 적용한다.

 

협심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발생하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관상동맥 위치
관상동맥 위치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혈전 등으로 갑자기 막혀 심장근육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협심증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못해 심장세포 일부가 죽어버리면 심근경색이 시작된다. 심근경색이 심해지면 심장마비에 이른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관상동맥 안쪽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찌꺼기가 쌓이면 혈관이 좁아져 피가 잘 흐르지 못해 혈액이 부족해지면서 가슴에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일반적으로 30분 이상 가슴 통증이 지속되는데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

 

응급으로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심장근육 파괴가 점차 증가해 심장의 움직임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시간을 다투어 빨리 치료해야 하는 중대한 질환이다.

 

심근경색 증상은 전형적인 가슴 뻐근함이나 조이는 증상 외에도 체한 느낌, 턱이나 왼팔의 뻗치는 통증이 있다.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심전도 검사 상 ST분절 상승, 혈액검사 상 심장근육효소 상승이 나타난다.

 

심근경색 치료는 혈전을 녹여주는 약물을 사용하는 약물치료와 막힌 관상동맥 혈관을 개통시켜 주는 풍선확장술, 스텐트 삽입술과 같은 관상동맥중재술이 있다.

 

협심증심근경색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가 알아야 할 점

며칠 전부터 뒷머리가 무겁고, 지속적으로 가슴 통증이 있으며, 숨도 차고, 속 쓰림이 심해지고, 가슴 두근거림이 있다가 없어지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장질환을 의심해 병원 진료를 받아보는 게 안전하다.

 

이 경우 의료진은 심전도 검사를 실시해 심근경색을 시사하는 ST분절 상승 등이 나타나는 등 허혈성 심장질환이 의심되면 혈관확장제인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하거나 관상동맥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칼슘길항제를 투여해야 한다.

 

만약 해당 의료기관에 심장질환을 정밀 진단할 수 있는 심혈관조영술 등을 할 수 없다면 신속하게 상급병원으로 전원해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특히 급성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증상이 있더라도 초기에는 혈관 수축이 풀리면서 증상이 호전되기도 하지만 다시 관상동맥이 수축되면 불안정형 협심증이 발생해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심장질환자가 알아야 할 점
심장질환자가 알아야 할 점

 

따라서 환자가 유사한 증상을 호소하며 2차 내원했을 경우 의료진은 협심증이나 급성 심근경색을 의심해 최초 내원했을 때의 1차 심전도 검사, 혈액검사 결과 등을 확인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만약 의료진이 환자에게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을 의심할 수 있는 정황이나 증상, 검사 결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심각한 장해가 발생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면 의료상의 과실 책임을 져야 할 수도 있다.

 

위의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글 아래 구독하기공감을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심장질환 치료 의료사고 대응심장질환 문의 사항
심장질환 진료 의료사고 대응, 문의 사항

 

2023.12.12 - [안기자 의료판례] - 급성 심근경색 의심 증상과 의사의 책무

 

급성 심근경색 의심 증상과 의사의 책무

급성 심근경색과 심근효소 수치 K는 12월 8일 길에서 넘어진 뒤 편마비 증상을 보여 오후 10시 40분 C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이 뇌졸중을 염두에 두고 치료하면서 2번의 심전도 검사와 2번

dha826.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