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관조영술15 동맥경화 스텐트 시술 후 통증 등 증상과 처치 죽상동맥경화증 치료 의사의 주의의무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에 지방이 들어붙어 동맥이 좁아지고 탄력이 감소하는 질환으로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협심증, 심장마비와 같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죽상동맥경화 진단을 받으면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항응고제인 헤파린과 와파린을 투여하면서 항응고 치료를 하고, 통상 혈관조영술과 함께 혈관 확장을 위해 스텐트를 통과시키는 혈관중재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죽상동맥경화증 치료를 위해 혈관중재술을 시행한 뒤 허리나 배의 통증, 복부 팽만 등을 호소하거나 심한 경우 의식을 잃거나 심정지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런 부작용 내지 후유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시술 이전, 시술 과정, 시술 후 주의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해야 한다. 다음은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해 .. 2023. 12. 10. 갑상선암, 임파선 전이 수술 후 사지마비 갑상선암 및 임파선 전이 진단 원고는 양측 갑상선 부위에 딱딱한 종양이 만져지는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은 결과 갑상선 유두암 및 경부(목 부위) 임파선 전이로 진단 받았다. 이에 피고 의사는 원고에 대해 갑상선 전절제술 및 좌측 경부 변형 근치적 임파곽청술 1차 수술을 시행했다. 1차 수술 후 우징 및 출혈 발생 그런데 1차 수술 다음 날 수술부위에서 광범위하게 피가 스며나오는 우징(oozing) 증상과 헤모박에 심한 출혈 증상이 나타났다. 이후로도 이런 출혈 증상이 계속되었고, 호흡곤란과 목 부위 통증이 발생한 데 이어 좌측 목에 부종이 발생했다. 여기에다 안면부와 사지말단부위에 청색증까지 나타났다. 이에 피고 병원 의사는 기도삽관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마취과 의사가 재시도해 기도삽관.. 2022. 5. 20. 뇌동맥류 수술했지만 뇌경색 발생해 하반신 마비로 무동증, 무언증 뇌경색 뇌의 혈관이 막히고 그 앞의 뇌조직이 괴사하게 되는 질환이다. 뇌혈전증과 뇌색전증이 있다. 뇌의 영양혈관이 완전히 폐색되거나 강한 협착을 일으켜 혈류가 현저하게 감소되면 그 부분의 뇌조직이 괴사하여 마침내 융해된다(뇌연화). 뇌연화증은 뇌의 세포들이 죽어 연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뇌경색으로 뇌세포들이 죽게 되면 뇌연화가 나타나지만 엄밀히 말하여 뇌연화증과 뇌경색은 다른 질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혈관조영술에서 뇌혈관이 부풀어 있자 뇌동맥류결찰술을 했지만 자발적인 뇌동맥류 파열로 뇌경색이 발생해 하반신 마비로 무동증, 무언증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환자는 심장질환과 수전증이 있어 피고 병원에서 뇌CT 검사를 한 결과 파킨슨병 초기 증상이 있.. 2019. 1. 8. 관상동맥중재술 과정에서 천공이 발생해 심낭압전, 대량출혈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11. 24. 폐쇄성 동맥경화증 혈관중재술 하면서 심정지 초래한 과실 혈관조영술과 혈관중재술을 병행할 때에는 혈관조영술만 할 때보다 고용량의 헤파린을 투여하고 혈관초를 제거한 후에 출혈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특히 환자가 항응고치료를 받고 있었다면 국소출혈, 복막 뒤 혈종, 가성동맥류 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혈관초를 제거할 때 오랜 시간을 들여 충분한 압박을 가하고 지혈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폐쇄성 동맥경화증 진단에 따라 혈관조영술과 혈관중재술을 하면서 혈관초 제거 전 검사의무를 위반해 침출현상과 심정지를 초래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왼쪽 다리의 저림과 통증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결과 왼쪽 윗다리 대퇴동맥이 막혀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폐쇄성 동맥경화증 진단을 받아 입원.. 2018. 9. 2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