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외 진료)
의사면허자격정지처분 취소
1심 원고 패(소송 종결)
원고는 내과의원을 운영하면서 주 2회씩 의료기관 외의 장소로서 사회복지시설인 'OO노인 요양원'을 방문해 그곳에서 요양 중인 노인들을 진료하는 등의 의료행위를 했다.
이에 피고 보건복지부는 원고의 이 사건 의료행위가 의료기관 외에서 의료업을 한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3개월 의사면허 자격정지처분을 했다.
의료법 제33조(개설 등) ①의료인은 이 법에 따른 의료기관을 개설하지 아니하고는 의료업을 할 수 없으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외에는 그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업을 하여야 한다.
2. 환자나 환자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진료하는 경우.
원고 주장
원고는 환자 또는 보호자의 요청을 받아 이 사건 의료행위를 한 것이므로, 의료법에 따라 의료기관 외에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법원 판단
환자나 환자 보호자의 요청이 있어 의료기관 외에서 의료업을 할 수 있는 경우란 의료기관내에서 의료행위를 할 수 없는 부득이한 사정이 있어 환자나 보호자의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요청에 의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요청 없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이고 정기적인 의료기관 외에서의 의료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선고 2010두26315 판결).
OO노인요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환자나 그 보호자의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요청에 따라 원고가 환자들을 진료했다고 볼 아무런 증거가 없는 이 사건 의료행위는 의료법에 의하여 허용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판례번호: 1심 15791번(2012구합15***)
판결문 받으실 분은 댓글 또는 비밀댓글에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안기자 의료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자가 병원 침대에서 낙상해 뇌출혈…의료진의 관찰의무 위반 쟁점 (2) | 2017.08.20 |
---|---|
전공의를 파견, 봉직의 대신 진료하게 한 것은 겸직금지 위반…업무정지 (1) | 2017.08.20 |
수면제로 알고 복용해 약물중독된 환자에게 활성탄 투여 지연 (0) | 2017.08.20 |
의료법인 전환하면서 부동산, 부채 등을 일괄 양도했더니 양도소득세 부과 (1) | 2017.08.20 |
충수절제술 뒤 췌장염 조치나 전원 지연 과실 (0) | 2017.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