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증상
협심증은 혈관의 수축 또는 경련, 혈전증 등으로 심장 근육에 필요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에서 협착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심장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면 가슴 중앙부에 통증이나 불쾌감이 있을 수 있고, 답답함, 조이는 느낌, 타는 느낌, 압박감, 쥐어짜는 느낌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협심증 진단을 위해서는 관상동맥조영술을 하게 된다.
관상동맥조영술은 피부를 통해 혈관으로 도관을 삽입해 심장근육에 피를 공급하는 좌우 관상동맥 기시부에 관을 위치시킨 후 선택적으로 각 혈관에 방사선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모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진단기법이다.
협심증 치료 방법
먼저 협심증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는 흡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다. 이런 위험인자를 관리하면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치료를 하게 된다.
또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경피적 혈관성형술, 풍선확장술, 스텐트 삽입술)이나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게 된다.
관상동맥 중재술은 관상동맥에 스텐트(stent)를 삽입해 혈전을 뚫어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치료 방법이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협심증으로 막힌 관상동맥 부위 이하에 좌우 내흉동맥, 복재정맥, 우위대망동맥, 요골동맥 등의 대체 혈관을 연결해 심장에 혈류 공급을 원활하게 해 주는 수술이다.
협심증 치료 의사 주의할 점
그렇다면 협심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사는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고, 주로 발생하는 의료과실은 어떤 것이 있을까?
첫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는 의사는 중재시술 과정에서 혈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시술 과정에서 혈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양의 항혈소판제, 항응고제를 투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만약 의사가 중재시술 과정에서 혈전을 초래했다면 이런 주의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해당하는지 따져봐야 한다.
둘째, 관상동맥우회술 과정에서 관상동맥, 대동맥 등의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셋째, 관상동맥우회술 과정에서 출혈이 발생했다면 지혈 조치를 제대로 한 뒤 수술을 종료해 대량 출혈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에는 환자의 혈압, 맥박 등의 활력징후를 확인하고, 경과를 관찰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환자에게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검사와 처치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넷째, 의료진은 관상동맥중재술을 시행하기 전 환자 또는 환자의 대리인에게 시술 방법과 시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협심증 치료 과정의 대표적 부작용, 과실
협심증에 대해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과정에서 가이드 와이어가 망가져 혈관이 손상되면 부정맥이 발생해 쇼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은 장비 조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 협심증을 치료하기 위해 혈관확장제, 혈압강하제 등을 장기 복용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투여량을 줄이면 호흡 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협심증 환자를 수술한 뒤 적정 시점부터 기존에 복용하고 있던 아스피린, 와파린 등을 재투약하지 않으면 뇌경색 등이 발생할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위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글 아래 '구독하기'와 '공감'을 꼭 눌러 주세요.
'의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악수술 후 감각이상 부작용 어쩌나? (1) | 2023.11.23 |
---|---|
심내막염 증상과 진단, 치료, 의사 진료 의무 (0) | 2023.11.18 |
결핵 치료 부작용과 진료 잘하는 1등급 병원 (1) | 2023.10.31 |
요양병원 입원 대상, 진료비용 부담액 (2) | 2023.09.02 |
임플란트 후 감각이상…치과와 웃으며 합의한 사연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