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증상과 치료법, 의사의 주의 의무
뇌경색의 대표적인 증상은 발음이 어눌해지고, 팔과 다리 힘이 없거나 저리고 감각이 없고, 갑자기 심한 두통이 발생하거나 걸을 때 휘청거리거나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 등이다.
뇌경색은 혈전 또는 색전(덩어리) 등으로 인해 뇌혈관이 막혀 결국 뇌세포가 혈액 순환 장애로 손상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경색은 적절한 처치를 시행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임상 현장에서 갑자기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감별 진단이나 관련 검사 등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적시에 조치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예측하기 힘든 뇌경색 발병 사례
실제 사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A 씨는 17일 호흡곤란 증세를 보이다가 의식을 잃고 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어 12시 57분 뇌 CT, MRI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활력징후나 동공 크기, 대광반사 등에서 특이 사항이 없자 의료진은 같은 날 오후 8시 중환자실로 옮겨 경과를 관찰하기로 했다.
그런데 A 씨는 18일 오전 9시 50분 오른쪽 팔의 힘이 약간 떨어지더니 오후 2시 10분 신경학적 검사에서 오른쪽 감각 변화가 감지되었고, 오후 2시 46분 뇌 MRI 검사 결과 연수 및 소뇌 부위 급성 뇌경색이 확인되었다.
의료진은 오후 9시 25분 뇌 CT 검사 결과 소뇌, 연수 부위 급성 뇌경색을 의심해 혈관검사를 통해 출혈이 없는 것을 확인한 뒤 19일 오전 9시 24분 항응고제인 헤파린을 투여했다.
환자는 그 뒤 오른쪽 안면마비, 구음장애 등이 발생해 재활치료를 받았다.
뇌경색 치료 방법
A 씨의 사례처럼 뇌경색은 뇌 CT, 뇌 MRI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고, 맥박, 체온 등의 활력징후, 의식상태, 동공 등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다가 갑자기 발병할 수 있다.
뇌경색이 발생하면 혈소판 응집을 줄이고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항혈소판제, 혈액 응고를 방지하거나 줄이는 항응고제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
또 뇌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용해시켜 혈관을 개통하는 혈전용해술과 동맥 내 혈전 제거술을 할 수 있다.
증상 발생 후 4.5시간 안에 혈전용해술이, 6시간 이내에 동맥 내 혈전 제거술이 가능하다.
의사는 이 같은 치료방법 중에서 뇌경색 발생 시간, 발생 원인, 동반 질환, 적응증, 출혈 위험성 등을 고려해 약물을 투여할지, 혈전용해술을 할지, 혈전 제거술을 할지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진단 또는 수술을 지연할 경우 뇌출혈 및 다른 부작용 위험이 커 시술 자체가 어려워지며 환자의 예후가 더 나빠질 수 있다.
뇌경색은 발병 후 신속하게 진단 및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한다. 안면마비, 구음장애, 연하장애, 보행장애 등으로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뇌경색 환자가 알아야 할 점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뇌경색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 또는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최선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가. 뇌경색 조기 진단 주의의무
의사는 환자가 뇌경색 의심 증상을 보일 경우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신속하게 혈액검사, 혈액응고검사, MRI, CT 검사 등을 실시해 증상의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나. 뇌경색 조기 치료
의사는 혈액검사, MRI 검사 결과 뇌경색으로 진단될 경우 환자의 상태에 맞게 항응고제 투여, 혈전용해술, 응급 수술 등을 시행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할 의무가 있다.
다. 설명의무
의료진은 환자에게 뇌경색이 발생하면 환자 또는 환자의 법정 보호자에게 진단명, 다양한 치료방법, 각각의 치료방법의 장점과 단점, 치료 과정 또는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의료진은 항응고제를 투여할 때에도 약물명, 약물 사용의 목적 및 효과, 합병증 등에 대해 설명해 환자가 충분한 설명을 들은 뒤 치료를 받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의료사고가 의심된다면
만약 뇌경색 의심 증상이 있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사지마비나 보행장해, 운동장애, 구음장애 등으로 혼자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했다면 환자나 환자 보호자 입장에서는 의료진의 잘못을 의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면밀하게 경과 관찰했는지, 이상증상이 발생했을 때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혈액검사, MRI 검사 등을 신속하게 했는지, 뇌경색 진단을 한 뒤 즉시 증상에 맞는 처치를 했는지, 치료를 하기 전 충실하게 설명의무를 이행했는지 등을 꼼꼼하게 확인한 뒤 손해배상 소송을 할지, 병원과 합의할지 판단해야 한다.
위의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글 아래 ‘구독하기’와 ‘공감’을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2024.01.16 - [안기자 의료판례] - 뇌혈관 기형 증상과 치료, 환자가 알아둘 점
'안기자 의료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농증 증상과 치료, 수술 전 알아둘 점 (1) | 2024.03.01 |
---|---|
자궁경부암 증상과 수술 부작용, 유의사항 (0) | 2024.02.29 |
요실금 증상과 치료방법, 환자 유의사항 (0) | 2024.02.27 |
디스크, 퇴행성 척추질환 신경차단술 유의사항 (1) | 2024.02.26 |
익상편 증상, 수술 후유증, 환자 주의할 점 (0)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