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비수술적 치료방법과 환자 유의할 점
허리 디스크에 대해 비수술적 치료방법인 고주파 열치료술(고주파 수핵감압술), 경막 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하는 의료기관이 적지 않다.
그러나 비수술적 치료를 하더라도 척추수술을 해야 하거나 다리 근력 및 감각 저하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아래 실제 사례를 보자.
K는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허리등뼈) 및 기타 추간판 장애, 요추의 염좌 및 긴장 진단 아래 D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다.
그 과정에서 D 병원 의료진은 고주파 열치료술과 경막 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했다.
디스크 고주파 치료
고주파 수핵감압술 또는 고주파 열치료술은 고주파 열에너지를 발산하는 얇은 바늘을 디스크 주변에 쬐어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을 차단하고, 팽창된 디스크를 응축해 돌출된 디스크 크기를 줄여 신경 압박을 해소하는 치료 방법이다.
고주파 열치료술은 절개수술에 비해 재발 확률이 낮고, 조직 손상이 없으며, 통증의 해소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치료법은 비수술 치료로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마취로 진행하고, 짧은 시술로 부담이 적으며, 근육이나 신경을 손상할 위험이 거의 없다. 1회 치료로도 통증이 감소하고, 노약자나 체력이 약한 분들도 시술 가능한 비절개 시술이다.
이 치료방법은 허리디스크나 목 디스크로 디스크 초기 증상인 경우, MRI 검사 상 신경 손상이 동반된 경우, 신경치료와 재활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때 적용한다.
디스크 신경차단술
경막 외 신경차단술은 척추 신경 주위에 약물을 주입해 염증과 부종을 가라앉혀 이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비수술적 치료다. 절개나 마취가 필요치 않아 만성질환자도 시행할 수 있는 간단하고 안전한 치료로 알려져 있다.
허리 디스크, 목 디스크, 척추수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시행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의 장점은 시술 시간이 짧고, 고령이나 당뇨, 고혈압, 심장병 환자도 바로 시술할 수 있으며, 부작용과 합병증, 후유증 위험이 적다는 점이다.
그러나 고주파 열치료술이나 경막 외 신경차단술은 허리나 목 디스크가 심각하지 않은 초기에 만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들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디스크의 신경 압박이 심한 경우에도 불구하고 이들 비수술적 치료를 고집한다면 주변의 정상조직까지 손상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디스크가 심하고 신경 압박이 심할 경우 미세 현미경 수술, 척추 유합술 등의 척추 수술을 받아야 한다.
위에서 소개한 K는 고주파 열치료, 경막 외 신경차단술을 받았지만 허벅지와 다리 부분 감각이 없는 이상 증상이 계속되자 도수치료를 받았다.
K는 도수치료에도 불구하고 이상 증상이 계속되자 T 병원에 입원해 현미경적 미세 감압술을 받았다.
디스크 증상 있다면 유의할 점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디스크는 증상 정도에 따라 비약물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 수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맞는 재활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방법을 추천하는 척추치료 전문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에 따라, 의료기관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전문 의료기관에서 진단을 받고, 의사로부터 질병 상태, 다양한 치료 방법, 치료 후 부작용 내지 후유증 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들은 뒤 신중하게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024.04.06 - [안기자 의료판례] - 허리 통증 원인과 환자 유의할 점
'안기자 의료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한 지난 약 처방 의사, 비도덕적 진료 면허정지 (0) | 2024.04.26 |
---|---|
위암 수술 후 복통, 발열 있다면 주의할 점 (0) | 2024.04.24 |
갑상선 결절, 암, 낭종 진단검사, 수술 대상 (0) | 2024.04.22 |
사랑니 발치 후 입술 및 혀 마비, 미각 상실 (1) | 2024.04.20 |
디스크, 통증 도수치료 잘못 하면 증상 악화 (1)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