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후 복막염 증상 진단 및 치료
조기 위암에 대해 복강경을 이용한 위절제술을 한 뒤에는 절제 부위를 서로 맞물려 잇는 문합을 하게 된다.
이렇게 문합한 부위에서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합 부위가 너무 긴장되지 않도록 하고, 혈류가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문합을 실시해야 한다.
그런데 자동문합기가 도입된 후부터 문합부위 누출 빈도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암에 대한 위절제술을 한 뒤 문합 부위에서 누출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전신적 인자, 국소적 인자, 기술적 인자 등이 원인이 된다.
전신적 인자로는 당뇨, 영양 불량, 대사 장애, 호흡기 장애, 순환기 장애 등이 있고, 국소적 인자는 문합 부위 혈액 순환 장애, 과도한 긴장, 연결부위 괴사, 부종 및 췌장염, 감염 등이 있다.
또 기술적 인자는 문합 술기의 영향 등이 있다. 그 밖에 문합 부위 주위에 발생한 염증이나 부작용의 이차적 영향으로도 문합 부위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위 절제수술 후 복통, 발열 있다면
통상 위절제술 후 문합부 누출이 발생한 경우 소화관 밖으로 누출된 장 내용물에 의한 국소 염증과 고름 형성으로 인한 복통, 복막 자극, 38도 이상의 발열 등의 조기증상이 나타난다.
또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증가, C 반응성 단백(CRP) 증가 등의 염증 소견이 나타나고, 배액관으로 혼탁액이나 소화관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때로는 창상 파열(복부 상처 감염으로 인한 벌어짐)이나 장, 피부에 구멍이 생기는 누공 형성 또는 광범위한 피부 발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문합부 누출 부위의 크기가 작고 누출이 잘 조절되면 경피적 배액술, 금식, 항생제 투여, 영양 지원 등의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실시하며, 대부분의 경우 이런 치료로 치유가 가능하다.
그러나 문합 부위 누출 크기가 크거나 배액이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확실한 치료를 위해 수술을 하기도 한다.
문합 부위 누출이 심하면 복막염으로 인한 패혈증이 발생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위절제술 후 환자가 복통 등을 호소할 경우 신속하게 관련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치료해야 한다.
위암 수술 후 복막염 발생 사례
아래 사례는 복강경을 이용한 위암 수술 후 환자가 이상 증상을 호소한 사안이다.
A는 T 병원에서 위암에 대한 위절제술을 받았는데 수술 직후부터 수술 부위 통증과 복부가 팽창해 배가 빵빵해지는 팽만감을 호소했다. 이런 증상은 복부 수술 후 통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긴 하다.
의료진은 환자가 이런 증상을 호소하자 진통제와 항생제를 투여한 뒤 복부 X-ray 검사와 혈액검사를 실시해 염증 수치를 확인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수치가 정상범위(4,800~10,800/μl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복통과 복부 불편감이 발생했다가 사라지는 증상이 반복되면 다시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안에 있고, 발열 소견이 없으면 일단 수술이 정상적으로 끝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A가 복부 통증과 복부 팽만감을 지속적으로 호소하자 의료진은 복부 X-ray와 복부 CT 촬영을 실시했고, 그 결과 위십이지장 문합 부위가 누출되면서 복막염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수술 부위에서 복막염이 발생했다고 해서 바로 조기 수술을 하지는 않는다.
대개 복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액술을 실시하고, 금식 조치를 하면서 항생제, 해열제, 진통제 등을 투여하면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하는 보존적 치료 등을 통해 회복된다.
의료진은 이런 조치를 한 뒤 상부위장관 조영술을 실시해 문합 부위 누출 현상이 지속되는지 확인하게 된다.
위의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글 아래 ‘구독하기’와 ‘공감’을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2024.03.03 - [안기자 의료판례] - 위암 환자가 알아야 할 수술 후 증상, 합병증
'안기자 의료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검사와 약물 투여, 수술 방법 (2) | 2024.04.27 |
---|---|
유통기한 지난 약 처방 의사, 비도덕적 진료 면허정지 (0) | 2024.04.26 |
디스크 고주파 치료, 신경차단술 장점과 주의사항 (0) | 2024.04.23 |
갑상선 결절, 암, 낭종 진단검사, 수술 대상 (0) | 2024.04.22 |
사랑니 발치 후 입술 및 혀 마비, 미각 상실 (1)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