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간염9 간경화, 간암 검사와 치료, 환자가 유의할 점 간경화와 간암 검사 방법, 환자가 알아야 할 점 간암 발생률은 간염 발생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11%, 20년이 지나면 35%로 증가되고, 간암 환자의 75~80%가 간염 환자이며, 이들 환자 중 약 50~55%가 B형 간염 환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간암은 그 진단이 어렵고, 대부분 진단 당시 이미 간경변증을 동반하면서 병기가 진행된 경우가 많아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 따라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는 정기적으로 간 기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간암의 발생 과정은 간경변증과 같은 만성 간질환에서 발생되는 재생성 결절에서 시작되어 이형성 결절, 조기 간암, 소간암, 진행성 간암에 이르는 발전 단계와 만성 간질환을 거치지 않고 정상 간에서 직접 간세포암이 발생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간경화, 간암 검사.. 2024. 2. 20. 고주파 간암절제수술 의료사고 고주파 간암절제수술과 출혈 처치 고주파 간암절제수술은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전극을 체내로 삽입해 조직의 마찰열을 이용해 간에 있는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때 늑간 동맥과 늑간 정맥이 갈비뼈의 아래쪽 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극을 갈비뼈 사이로 삽입할 때 갈비뼈의 위쪽 면을 따라 삽입해야 한다. 고주파 간암치료술은 비교적 합병증이나 사망률이 높지 않다. 고주파 간암치료술 후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는 1% 미만이다. 고주파 간암절제술을 하는 의사는 8번 갈비뼈의 윗면을 따라 밀착시켜 전극을 삽입한 다음 7번 갈비뼈의 아랫면의 동맥 및 정맥과 충분한 거리를 두고 복강 안으로 찔러 넣어야 한다. 아래 사례는 고주파 간암절제술 후 CT 검사 결과 출혈을 확인한 직후 환자에게 심정지가 발생해 사망에 이른 사안.. 2023. 9. 18. 간암 진단 지연 의사 과실 간암 진단 지연 의사 과실 의사는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질환이 의심되는 증세가 있는지 자세히 살펴 그런 증세를 발견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질환의 정도 등을 밝히기 위한 조치나 검사를 받도록 환자에게 설명하고 권유할 주의의무가 있습니다. 환자가 간암 고위험군으로서 간암 조기발견을 위해 검진을 받아오던 중 간암을 의심할 만한 검사결과가 나왔다면 의료진은 어떤 추가 조치가 필요한지 설명해야 합니다. 이번 사건은 이런 의사의 주의의무 위반 여부를 다툰 사안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1998년 B형 간염 진단을 받은 보균자인데 2011년 8월 피고 병원 소화기내과에서 혈액검사를 받고 간염 치료를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해 왔습니다.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6개월 간격으로 간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복부.. 2020. 11. 16. 간세포암 가족력과 추적검사 안한 의사의 불성실진료 간세포암 가족력이 있으며, 만성 간염 확인후 3년 동안 검사나 진료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검사를 하지 않았다면 의사는 현저하게 불성실한 진료를 하였다고 볼 것인가?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만성 간염 진단을 받은 바 있고, 원고의 아버지는 간세포암종으로 사망한 가족력이 있다. 원고는 상복부 통증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 내과에 내원했고, 의료진은 위내시경 검사후 7일치 약을 처방해 주며 증상이 지속되면 다시 내원하라고 했다. 원고는 20일 후 다시 내원해 자주 체한다고 호소했고, 의료진은 약을 처방해 주면서 증상이 지속되면 CT 등 정밀검사를 받으라고 권유했다. 원고는 한 달여 후 피고 병원에 내원해 복부 CT 검사를 받았는데 범발성 간세포암종 소견이 .. 2019. 12. 5. 간염 진단·치료과정 의료과실, 의료소송 간에 염증이 생기더라도 아무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서서히 진행해 간에 손상을 준다. 간 손상은 간의 염증, 간의 섬유화, 간의 경화, 간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은 간염 치료와 관련해 손해배상 청구소송이 제기된 사례들이다. #1 환자는 내과의원을 방문해 3일치 감기약을 처방받아 복용했지만 낫지 않고 구토 및 구역이 있다고 설명했고, 의사는 소염제, 해열제, 항생제를 처방하면서 소변검사를 하려고 했지만 환자가 거절해 하지 못했다. 환자는 다음날 대학병원에서 급성 신우염, 급성 A형 간염 진단을 받았고, 간이식수술을 받았지만 사망했다. #2 A는 미국 병원에서 간문맥 혈전, 식도 정맥류, 복수가 차 있다는 소견을 받고 방한해 B병원에 내원했다. B병원 의료진은 자가면역 간염.. 2019. 3.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