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직5 갑작스런 뇌출혈에 적절한 치료 안한 의료진 환자의 증상 환자는 119 구급대를 통해 의식이 또렷한 상태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도착했다. 당시 환자는 고열과 쑤시는 통증을 동반한 두통과 복통을 호소했다. 이에 의료진은 방사선검사와 CT검사를 했지만 특이소견이 발견되지 않았고, 환자의 희망에 따라 퇴원시켰다. 환자는 3일 뒤에도 두통과 고열 증상이 계속되자 피고 병원 뇌신경센터에서 외래 진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뇌CT 검사를 실시했지만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자 뇌수막염을 의심해 입원하도록 했다. 환자는 입원 이틀 후에도 계속 두통을 호소했는데 의료진은 각종 검사를 거쳐 뇌수막염으로 진단한 후 보존적, 대증적 치료를 시행했다. 갑작스런 경련과 사지강직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이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자 퇴원을 고려하고 있었다. 그런데 입원 7일째 오후.. 2021. 11. 1. 근육파열 수술과 혈관문합술 후 구획증후군으로 관절강직 장해 근육 괴사와 구획증후군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만취 상태에서 정신을 잃은 채 우측 무릎 후방 부위 및 종아리 열상을 입고 피고 병원에 후송돼 근육 파열에 대한 근육봉합술 및 슬와동맥 파열에 대한 혈관문합술을 받았다. 당시 원고의 슬와동맥은 거의 파열된 상태였다. 원고는 중환자실로 옮겨져 지속적으로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3일 후 우측 족지의 감각이 없는 것을 직접 확인하고, 구획증후군을 의심해 혈관조영검사를 시행한 후 근막절개술을 시행했다.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 근육들을 감싸는 질긴 막의 조직을 근막이라고 한다. 근막들이 연결되어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주머니 안에 근육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팔이나 다리 안에는 구획이라.. 2017. 9. 11. 반월상연골절제술 후 관절강직 등 초래한 의료과실 무릎관절 통증으로 슬관절 반월상 연골 절제술, 연골 성형술, 슬관절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을 받은 뒤 관절강직이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슬관절(무릎관절)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서 우측 슬관절 반월상 연골 열상 진단을 받았다. 이에 피고 병원에서 우측 슬관절 반월상 연골 절제술 및 연골 성형술을 받고, 일주일 후 우측 슬관절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을 받았다. 무릎관절(슬관절) 넙다리뼈, 정강뼈의 안쪽과 바깥쪽 사이, 무릎뼈 사이를 이루는 경첩 모양의 관절. 무릎관절은 넙다리정강관절과 넙다리무릎관절로 이루어진다. 넙다리정강관절은 정강뼈와 넙다리뼈의 관절면이 접촉하여 경첩 형태의 관절을 이루며 무릎의 폄과 굽힘 운동에 관여한다... 2017. 9. 10. 파킨슨병환자에게 다른 약물 대체처방 안한 게 과실일까? (파킨슨 치료제)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기각 원고는 1993년부터 시작된 좌측 손과 다리의 떨림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피고 대학병원에 내원해 보행할 때 일시적으로 발이 땅에서 떨어지지 않는 동결현상이 있다고 호소했다. 피고 D가 신경학적 진찰을 한 결과 원고에게 평행이상 소견이 관찰되었고, 제2기 말기 또는 제3기 초기의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이에 항도파민제제인 팔로델과 엘데프릴을 처방, 투여했으며, 이 약제가 별다른 효과가 없자 레보도파 제제인 마도파를 처방했다. 원고는 2000년 4월까지 외래 진료를 받으면서 보행장애, 동결현상, 간간이 발생하는 낙상 등 중기 파킨슨병 증상을 호소했지만 그밖에는 큰 문제가 없어 한달 간격으로 진료를 받았고, 피고 D는 마도파 또는 시네메.. 2017. 8. 22. 추돌사고로 전완부 골절 수술했지만 구획증후군 손목과 손가락 강직 차량 추돌 교통사고로 전완부 골절상 등을 수술했지만 구획증후군을 진단 못해 손목과 손가락 강직 초래한 과실. 사건: 구상금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강제 조정 사건의 개요 C는 원고 보험사와 자동차종합보험계약을 맺은 차량을 운전해 가던 중 D차량을 충격해 이 차량 조수석에 동승하고 있던 E에게 우측 전완부(팔뚝) 개방성 골절상 등의 상해를 가했다. E는 피고 병원 응급실로 이송돼 전신마취 아래 관혈적 정복 및 금속 내고정술을 받았는데 수술 직후부터 골절 부위 통증을 호소했고, 손가락 끝의 피부색이 검붉은 색으로 좋지않았다. 또 손가락을 약하게 만질 때 느끼지 못한다고 했고, 무통주사를 투여해도 팔이 아프다고 했다. E는 F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해 체열진단검사를 받은 결과 우측 주관절 이하의 온도 .. 2017. 7.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