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획증후군6 구획증후군 진단, 치료 지연 과실 수술 중 심정지 발생 원고는 군 복무중 군 병원에서 흉선종 진단을 받아 이를 제거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흉선종은 흉선(가슴샘) 세포에 생기는 원발성 종양을 의미합니다. 의료진은 3월 22일 흉강경을 이용해 흉선종 절제술을 시작했는데 1시간 15분 뒤 심정지가 발생했다. 의료진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인공심폐기를 삽입했으며, 심장제세동을 한 이후 원고는 심정지 상태에서 회복되었다. 구획증후군 발생 원고는 3월 22일 중환자실로 옮겨졌고, 인공심폐기가 삽입된 좌측 다리에 온열램프가 적용되었다. 원고는 수술 당일 오후 좌측 다리에 청색증을 보였고, 의료진은 인공심폐기 카테터를 조절하자 다리 색이 돌아왔지만 온열램프는 유지되었다. 3월 23일 경과 왼쪽 다리로 삽입했던 인공심폐기가 종료되었다... 2021. 10. 8. 무릎 관절염에 근위경골절골술 후 부작용 이번 사건은 근위경골교정절골술을 받은 뒤 족하수로 인해 영구적인 보행장애가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사가 수술 과정에서 혈관, 신경을 손상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수술에 앞서 수술로 인한 부작용, 후유증에 대해 충분하고 자세하게 설명했는지 여부입니다. 인정 사실 원고는 좌측 무릎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는데요. MRI 검사를 받은 결과 좌측 슬관절(무릎관절)의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착부 파열 및 내측 관절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원고는 피고 병원 의료진의 권유에 따라 피고 병원에 입원해 연골판 파열 부위 봉합술과 함께 내반 변형을 교정하기 위해 근위경골교정절골술 1차 수술을 받았습니다. 근위경골절골술은 휜다리를 교정하고, 관절염 진행속도를 늦추는 수술로 흔히 .. 2021. 8. 24. 대퇴부골절 금속 제거수술 출혈로 식물인간…생존가능기간 산정방법 하퇴부골절 부위 고정 금속 제거, 수술자국 성형수술 과정에서 출혈로 인해 저산소성 뇌손상을 입어 식물인간이 된 환자의 잔존여명이 초과한 경우 생존가능기간 재산정 방법.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과거 좌측 다리 경비골개방성분쇄골절 치료를 받고 구획증후군이 발생해 그 후유증으로 족관절 근육이 부분적으로 기능을 상실했고, 비골신경 및 후경골신경의 심한 손상을 받았다. 또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좌측 대퇴부골절 부위 고정을 위해 시술한 금속을 제거하고 수술 자국에 대한 성형수술을 받기 위하여 입원해 두 번에 걸쳐 좌하지 변연제거술, 골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원고는 위 두 번의 수술 후 계속된 출혈로 인하여 저산소성 뇌손상을 입고 식물인간 상태에 빠지는 사고를 당하였다. 이 사건.. 2017. 11. 8. 근육파열 수술과 혈관문합술 후 구획증후군으로 관절강직 장해 근육 괴사와 구획증후군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만취 상태에서 정신을 잃은 채 우측 무릎 후방 부위 및 종아리 열상을 입고 피고 병원에 후송돼 근육 파열에 대한 근육봉합술 및 슬와동맥 파열에 대한 혈관문합술을 받았다. 당시 원고의 슬와동맥은 거의 파열된 상태였다. 원고는 중환자실로 옮겨져 지속적으로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3일 후 우측 족지의 감각이 없는 것을 직접 확인하고, 구획증후군을 의심해 혈관조영검사를 시행한 후 근막절개술을 시행했다.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 근육들을 감싸는 질긴 막의 조직을 근막이라고 한다. 근막들이 연결되어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주머니 안에 근육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팔이나 다리 안에는 구획이라.. 2017. 9. 11. 추돌사고로 전완부 골절 수술했지만 구획증후군 손목과 손가락 강직 차량 추돌 교통사고로 전완부 골절상 등을 수술했지만 구획증후군을 진단 못해 손목과 손가락 강직 초래한 과실. 사건: 구상금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강제 조정 사건의 개요 C는 원고 보험사와 자동차종합보험계약을 맺은 차량을 운전해 가던 중 D차량을 충격해 이 차량 조수석에 동승하고 있던 E에게 우측 전완부(팔뚝) 개방성 골절상 등의 상해를 가했다. E는 피고 병원 응급실로 이송돼 전신마취 아래 관혈적 정복 및 금속 내고정술을 받았는데 수술 직후부터 골절 부위 통증을 호소했고, 손가락 끝의 피부색이 검붉은 색으로 좋지않았다. 또 손가락을 약하게 만질 때 느끼지 못한다고 했고, 무통주사를 투여해도 팔이 아프다고 했다. E는 F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해 체열진단검사를 받은 결과 우측 주관절 이하의 온도 .. 2017. 7.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