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난청5

안면경련 치료와 수술후 난청 청각장애 부작용 안면경련 치료법과 부작용 안면경련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약물요법, 보톡스 주사요법 등이 있지만 가장 유효한 방법은 미세혈관 감압수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물치료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는 있지만 오히려 악화될 수도 있고, 보톡스 치료 역시 3~4개월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아니다. 미세혈관 감압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안면신경이나 전정신경은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빈도가 매우 낮지만 청신경은 가장 약해 쉽게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미세혈관 감압술을 시행하면서 청력상실이 되는 빈도는 보고자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2~4% 정도다. 안면경련 치료하는 의사의 책무 (1) 수술 과정에서 신경을 손상하지 않을 주의의무 미세혈관 감압수술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청각신경을 손상시켜 청력상실이라는.. 2023. 2. 2.
귀 고름 만성중이염 수술 후 난청, 이명 등 부작용 중이염 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일반적으로 중이염 수술을 하는 의사는 환자의 뇌신경들이 다치지 않도록 환자의 CT 사진을 면밀히 검토하고, 안면신경 주행경로를 예측해 안면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수술 과정에서 안면신경이 손상되면 안면신경마비가, 과도한 이소골 조작을 하면 청각상실이, 미로가 손상되거나 과도한 이소골 조작의 경우 심한 전정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중이염 수술 후 부작용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만성중이염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는 과정에서 의료진이 안면신경을 손상해 안면 근력 저하, 난청, 이명 등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안면신경, 청각신경 등을 손상하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수술에 앞서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행.. 2022. 9. 26.
눈매교정을 위해 안검하수교정술후 쌍꺼풀 비대칭, 건성안, 토안 발생 안검하수교정술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사진: pixabay 기초 사실 원고는 피고 성형외과에서 절개를 통해 눈매를 교정하는 안검하수교정술(일명 절개눈매교정술)을 받았다. 원고는 약 두 달 후 다시 내원해 눈이 불편하고 좌안이 당기는 느낌이 있다고 했고, 약 4개월 후 2차 수술, 3개월 뒤 3차 수술을 했다. 하지만 원고는 그 뒤에도 비대칭과 당김 등 불만을 호소했으며, 대학병원에서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말초맥관병증, 마른눈증후군,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단을 받았고 현재 쌍꺼풀 비대칭, 건성안, 미미한 토안 증세가 있다. 법원의 판단 안검하수교정술이 성형외과 영역에서 가장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수술로서 미국의 경우에도 재수술률이 12~18%로 보고되고 있으며, 합병증으로는 비대.. 2017. 12. 19.
인공와우이식술 비용을 심평원이 삭감하자 법원이 요양급여대상으로 판단 사진: 대법원 제공 (인공와우이식) 보험급여비용삭감처분 취소 1심 원고 승(소송 종결) 한OO은 장애 3급(70dB 이상의 난청)으로서 원고 병원에 최초 내원해 순음청력검사와 어음명료도검사, 듣기 및 말-언어평가를 받았다. 원고 병원은 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OO이 좌측 귀의 경우 농(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상태), 우측 귀의 경우 75dB, 어음명료도 42%, 문장언어평가 46%인 상태로 판단했다. 이에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중 인공와우의 요양급여대상 여부와 관련한 세부인정기준에 해당한다고 판단, 인공와우이식술을 시행했다. 또 피고 심평원에 위 시술에 사용한 재료비(NUCLEUS 24 FREEDOM COCHLEAR IMPLANT 전규격 1개, FREEDOM SPEECH P.. 2017. 8. 26.
건강검진 MRI에서 뇌종양 판독 못하고, 수술과정에서 뇌손상 사지마비 건강검진용 MRI에서 뇌수조 부위 뇌종양 종괴를 판독하지 못했고, 수술 과정에서 뇌손상으로 사지마비. 사건: 손해배상(본소), 진료비(반소)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소, 2심 원고 일부 승소, 대법원 상고 기각(2014년 1월) 사건의 개요 원고는 2006년 피고 대학병원에 내원해 건강검진 목적으로 전신 MRI 검사를 받았고, 정상 소견을 통지받았다. 그러나 당시 뇌 MRI 영상에는 약 1.6cm*1.7cm 크기의 종괴가 좌측 소뇌-교뇌각 뇌수조 부위에서 관찰된다. 원고는 왼쪽 귀의 난청이 심해지자 2009년 피고 병원에서 뇌부위 MRI 검사를 받았고, 2.1cm*2.1cm*2.7cm 크기의 종괴(청신경초종 뇌종양)가 좌측 소뇌-교뇌각 뇌수조 부위에서 관찰됐다. 이에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청신경초종 제.. 2017.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