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단장증후군5

대장 직장암 수술후 정맥혈전증으로 단장증후군 상장간막정맥혈전증은 장간막정맥이나 그 분지의 자연폐색으로 인새 장괴사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복막염 증상이 나타나거나 장경색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응급수술이 필요하다. 아래 예시한 사건은 결장직장암으로 복강경수술을 받은 뒤 상장간막정맥혈전증이 발생했지만 응급수술을 지연해 단장증후군이 발생한 사안이다. 대장 결장직장암 수술 후 단장증후군 발생 원고 Y는 다른 병원에서 대장암 의증 진단을 받고 2월 4일 피고 병원에 입원해 동시성 결장직장암으로 진단받았다. 이에 의료진은 2월 10일 원고에 대해 복강경을 이용해 결장 전체를 절제하는 전 결장절제술을 시행했다. 그런데 원고는 수술 종료 직후 의식은 명료했지만 2개의 배액관에서 혈액성 배액이 관찰되었다. 원고는 2월 11일 혈압이 173/105mmHg, 맥박수 6.. 2023. 3. 28.
장폐색 증상을 단순 장유착으로 진단해 심각한 후유증 장폐색(장폐쇄증) 증상과 의사의 주의의무 장폐색은 식도, 소장, 대장, 직장에 이르는 장관이 막히는 것을 의미한다. 장폐색의 원인은 다양한데 기계적 장폐색은 혈류가 유지되는 ‘단순 장폐색’과 장관으로 공급하는 혈류에 장애가 발생한 ‘교액성 장폐색’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교액성 장폐색은 혈액순환이 차단되어 해당 구간에서 괴사가 발생되면 회생불능상태에 빠지게 되고, 패혈증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교액성 장폐색은 진단 지연이 주된 원인이어서 조기수술이 권장된다. 장폐색의 대표적인 증상은 오심, 구토, 복통, 복부 팽만, 탈수, 빈맥, 발열 등으로 다양하다. 따라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는 조금이라도 교액성 장폐색이 의심되면 복부 CT를 다시 검사하거나 초음파 도플러를 시도할 수 있고, 혈액검사를 실시해 .. 2022. 11. 11.
결장암 절제수술후 소장 유착이 발생해 재수술과 장피누공 봉합시술후 단장증후군 장 폐색을 동반한 S상 결장암 진단을 받고 전방절제수술을 받고, 소장 유착부위에 대해 소장 절제 및 문합술을 했지만 장피누공 봉합시술후 단장증후군이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대장암으로 의심되는 종양이 발견되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았는데 장 폐색을 동반한 S상 결장암 진단을 받고 전방절제수술(1차 수술)을 받았다. 환자는 1차 수술로부터 복부 불편감을 호소해 보존적 치료를 했지만 그 귀 계속 통증을 호소해 소장검사를 한 결과 공장 중간 부위의 부분적 장폐색 소견이 있어 의료진은 소장 유착부위에 대해 소장 절제 및 문합술(2차 수술)을 시행했다. 환자는 2차 수술후 회복중 봉합 부위에서 담즙색의 분비물이 발견됐고, 의료진이 장피.. 2019. 5. 25.
장폐색 응급수술 지연해 단장증후군, 배변장애, 마라스무스, 영양장애 장폐색 응급수술 지연해 단장증후군, 배변장애, 마라스무스, 영양장애 초래. 이에 대해 법원은 A대학병원에서 장간막 회전 수술을 할 수 있었지만 하지 않았고, B대학병원에 대해서는 응급수술을 지연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과거 위암으로 위전절제술을 받았데 갑자기 복통이 발생해 A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유착성 장폐색, 장간막 꼬임 의증으로 진단하고 과거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B대학병원으로 전원시켰다. B대학병원 의료진은 소장 폐색 소견이 있지만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어서 내과적 치료를 먼저 하는 것이 좋겠다는 외과의 소견에 따라 수액, 전해질 투여, 감압 등 보존적 치료를 선행했다. 하지만 백혈구 수치가 증.. 2017. 9. 8.
결장직장암 복강경 수술후 출혈 방치해 단장증후군 초래 결장직장암 복강경 수술후 출혈 방치해 단장증후군 초래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 유○○는 다른 병원에서 대장암 의증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 입원해 동시성 결장직장암 진단 아래 복강경 전 결장절제술(개복하지 않고 복부에 구멍만 뚫은 후 복강경을 이용해 결장 전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다. 이 사건 복강경 수술 종료 후 원고는 혈압이 177/110mmHg, 맥박수가 81회/분, 호흡수가 22회/분, 체온이 37.1℃였고, 의식은 명료했지만 좌, 우 2개의 배액관에서 혈액성 배액이 관찰되었다. 수술 6시간 후인 06:00경부터 10:00경까지의 위 원고의 혈액성 배액량은 우측 배액 관이 1980cc, 좌측 배액관이 550cc였다. 같은 날 .. 2017.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