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담낭염15

뇌동맥류 수술 후 뇌출혈, 뇌경색…의사 과실은? 뇌동맥류 수술 후 뇌출혈, 뇌경색 발생했다면 뇌동맥이 꽈리처럼 부풀어 올라 뇌출혈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 뇌동맥류이다. 뇌동맥류 진단은 뇌혈관 CT 촬영, 뇌자기공명혈관촬영(MRA), 뇌혈관조영술 등이 있으며, 치료 방법은 개두술과 동맥류 결찰술, 코일색전술 등이 있다. 뇌동맥류 수술 중 혈관 조작 과정에서 자칫 뇌경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뇌를 과도하게 견인하면 뇌부종이나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두엽이 손상되면 마비, 언어 장애, 의식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 사안은 뇌동맥류 진단에 따라 결찰수술을 한 뒤 뇌출혈, 뇌경색, 수두증이 발생해 결국 뇌손상으로 인한 사지마비가 되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사례다. 뇌동맥류 수술 후 부작용 발생 경위 A는 구토.. 2023. 8. 25.
쓸개 담낭염에 항생제 늦게 투여한 과실 위암 수술 6개월 후 명치 통증 호소 환자는 위암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는데 6개월 뒤 심와부(명치 부위) 통증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환자는 4월 7일 피고 병원에서 혈액검사 등을 받은 뒤 입원했고, 의료진은 이틀 뒤인 9일 오전 복부 X-ray 검사를 실시하고, 오후 6시 20분 경 CT 촬영을 시도했지만 환자의 통증 호소로 촬영을 하지 못했다. 기종성 담낭염 확인 후 응급수술 의료진은 같은 날 오후 11시 CT 촬영을 실시해 기종성 담낭염과 신장 및 비장 부위의 허혈을 확인하고 다음 날 자정 무렵 응급수술을 진행했다. 환자는 수술 이후 패혈증 치료를 받다가 며칠 뒤 다장기기능부전으로 안타깝게도 사망했다. 담낭염 쓸개에서 염증이 생긴 상태를 의미한다. 담석, 종양, .. 2022. 7. 7.
담낭염 원인과 수술중 담도 손상해 담즙 누출 담낭염 진단 아래 당낭절제술 시행 원고는 자궁근종 진단과 만성 담낭염 진단을 받자 두 수술을 한꺼번에 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은 1월 17일 복강경을 통한 담낭절제술과 자궁절제술을 시행했다. 담낭염이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관이나 통로 등이 좁아지는 것)이 발생해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안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쓸개)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급성 담낭염이라고 한다. 담석이 지속적으로 담낭벽을 자극할 경우 만성 담낭염이 생길 수 있다. 치료 방법은 급성의 경우 금식 유지, 항생제 투여, 수액 보충 등으로 이뤄지며, 가장 중요한 치료는 담낭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염증이 심해 생체징후가 불안정해 응급수술이 어려울 경우에.. 2022. 2. 19.
급성담낭염 수술 의사의 과실 이번 사례는 환자가 급성담낭염 진단을 받아 병원에서 복강경에 의한 담낭절제술을 받는 과정에서 심각한 유착을 확인하고 박리하는 과정에서 총담관을 손상한 사례입니다. 또 수술 후 담즙 누출이 계속돼 다른 병원으로 전원 했지만 안타깝게도 사망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무리하게 박리하면서 총담관을 손상시켰는지, 수술 후 담즙이 누출된 상황에서 적절하게 경과관찰 및 후속조치를 취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환자는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에 입원해 복부-골반 CT 등의 검사를 받은 결과 급성담낭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러자 피고 병원 의사는 환자를 입원하도록 한 뒤 복강경에 의한 담낭절제술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급성담낭염 치료 담낭은 흔히 쓸개라고 부르는 장기입니다. 담석, 종양, 수술 .. 2021. 8. 6.
급성 담낭염 수술 의료과실 이번 사건은 담낭염으로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을 하는 과정에서 의료진의 과실로 담관을 절제한 사례입니다. 아울러 환자가 수술 이후 통증이 지속되는 등 예후가 좋지 않았음에도 CT나 ERCP 등의 검사를 신속하게 하지 않은 과실이 있는지 여부도 쟁점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상복부 통증의 피고 병원에 내원해 급성 담낭염(cholecystitis) 진단을 받았고,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을 받았습니다. 원고는 수술 다음날 혈액검사를 받았는데 간기능 수치가 AST 452(참고치 7~38IU/L), ALT 407(참고치 4~43IU/L)로 참고치를 훨씬 상회하였습니다. 원고는 수술 이후 지속적으로 복통 등을 호소했고, 수술 5일 후 배액관을 제거한 후에는 담즙 색깔의 삼출물이 관찰되기도 했습니다. 그 후.. 2020.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