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작12 뇌동정맥기형 증상, 진단, 치료, 의사 주의사항 뇌동정맥기형이란? 뇌동정맥기형(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동맥과 정맥 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직접 정맥으로 이행하는 혈관기형이다. 이 경우 동맥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정맥으로 혈류가 바로 전해져 뇌출혈의 원인이 되고, 동맥 압력이 낮아지고 정맥 압력이 높아져 기형혈관 주위의 뇌 조직에 혈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주위의 뇌 조직은 신경교증과 괴사를 일으키게 되며 주변 혈관들은 자동 조절 기전에 장애가 되고, 최대한 확장하게 된다. 뇌동정맥 기형의 증상 이때 우회 배출이 잘되지 못하거나 혈관 내벽의 변성이 심하면 출혈 증상이 발생한다. 뇌동정맥 기형의 절반에서 뇌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통, 의식 저하.. 2023. 12. 23. 알코올의존증환자 뇌출혈 4시간 방치한 병원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알코올의존증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병원에 입원해 금단증세를 보이다가 넘어진 뒤 다음 날 의식저하 증세가 발생해 상급병원으로 전원했지만 뇌출혈 등으로 사망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넘어진 뒤 환자의 두부 손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알코올의존증이 있는 이 사건 환자는 혈중알코올농도 0.32%의 상태에서 피고 병원에 입원해 병실을 배정받고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그런데 다음 날 0시 50분부터 6시 30분까지 계속해서 구토와 토혈을 하고 스스로 토사물을 치우는 등 제대로 잠을 자지 못했습니다. 환자는 오전 7시 25분 경 아침식사를 하기 위해 바닥에 앉아 기다리던 중 갑자기 의식을 잃으면서 쓰러져 발작증세를 보였습니다. 환자는 7시.. 2021. 9. 14. 알코올 금단증상으로 사지마비, 강직, 발작을 일으키다 호흡정지후 저산소성 뇌손상 알코올 금단증상 발작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기초 사실 환자는 20대 때부터 소주를 매일 마셨는데 사지강직으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뇌CT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발견하지 못했고, 혈액검사 등을 거쳐 알코올 금단증상으로 진단해 입원조치했다. 환자는 입원 당일 전신 강직으로 보이며, 팔과 다리를 떠는 등 전신성긴장간대발작을 일으켰고, 혀에 출혈이 심하게 있었다. 간질 전신발작, 긴장간대발작 간질 중에서 가장 많으며, 강직성 간대성의 전신성 경련이 일어나고, 의식도 소실된다. 약 80%는 특발성이다. 14~18세에 많이 발생하며 나이가 들면서 감소되어 가지만 드물게는 40세 정도에 증상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높은 연령에 발병하는 증례에서는 속발성.. 2017. 11. 22. 간호조무사가 신생아를 떨어뜨려 뇌병변장애 초래 산부인과의원 간호조무사가 수유하기 위해 의자에 앉던 중 신생아를 떨어뜨려 두개혈종으로 뇌병변장애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피고는 산부인과의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조무사인데 신생아실에서 신생아에게 수유를 하려고 의자에 앉던 중 넘어지면서 신생아를 떨어뜨리면서 신생아의 머리가 자신의 무릎 부위에 부딪히게 했다. 피고는 사고 직후 신생아의 머리가 부어오르자 의료진에게 보고했고, 상급병원으로 전원했지만 외상후 발작, 외상성 두개혈종, 복합성 부분 발작 등으로 치료를 받고 뇌병변장애 6급 진단을 받았다. 법원의 판단 필고는 수유를 하는 중 넘어질 경우 신생아를 떨어뜨릴 위험이 있으므로 수유를 하기 전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지 충분히 확인하고 안정된 자세로 수유를 해야 한다. 이를 .. 2017. 11. 13. 뇌종양수술 중 출혈과 뇌부종 발생해 뇌경색으로 우측 편마비 종양제거술과 설명의무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원고는 발작 증상을 보여 MRI 검사 결과 좌측 전두엽, 측두엽, 내측, 섬엽을 침범한 뇌종양이 관찰돼 피고 대학병원으로 전원했다. 피고 의료진은 오전 7시 70분에 개두술을 통한 종양제거술에 들어갔는데 이후 뇌압이 매우 높은 소견을 보였고, 이로 인해 전두엽이 경막 밖으로 밀려나왔으며 출혈도 발생했다. 이에 의료진은 측두엽 일부에 대한 절제술을 했는데 이번에는 뇌의 기저부에서 출혈이 발생했다. 이에 해당 부위를 전기소작하고 지혈한 후 출혈과 뇌부종이 안정되자 전두엽 기저부와 섬엽 등에 있던 나머지 종양을 제거한 후 오후 5시 50분경 수술을 종료했다. 환자는 수술후 전대뇌동맥 영역의 허혈성 뇌경색 소견을 보였고, 우측 편마비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상 보호.. 2017. 10. 2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