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소포화도22 수면 내시경검사 후 깨어나지 않는다면 수면 내시경검사 의료진의 주의의무 면 내시경검사를 하기 위해 프로포폴을 투여하는 의사는 의학적으로 권고되는 용양과 투여 방법을 준수해 안전하게 투여해야 하며, 내시경검사 과정 및 검사 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하게 살펴 청색증 등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프로포폴 투여 후 위, 대장 내시경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산소포화도 저하 증상이 나타났고, 검사를 모두 마친 뒤 회복실에서 청색증이 발생해 응급처치를 했지만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수면 내시경검사 후 심정지 발생 사건 A는 피고가 운영하는 I병원에서 위와 대장 내시경검사를 받기 위해 종합검진센터를 내원했다. 당시 환자는 신장 167cm, 체중 89kg, 체질량지수(BMI) 31.9kg/㎡로 비만이었다.. 2023. 6. 14. 신생아 뇌손상 발생했다면 따져볼 점 분만 후 신생아 뇌손상 의료분쟁 쟁점은? 아래 사례는 분만 직후 신생아가 자발호흡이 없자 기도삽관을 한 뒤 상급병원으로 전원 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분만을 하기 전에 의료진이 산모와 태아에 대한 경과 관찰을 잘했는지, 조기에 분만을 유도해야 할 상황은 아니었는지, 신생아에게 기도삽관 한 뒤 환기가 잘되고 있는지 확인했는지, 분만에 앞서 설명의무를 성실히 이행했는지 등을 따져볼 수 있다. 신생아 뇌손상 사건 원고는 임신 40주 6일째인 2월 18일 양막파수가 발생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고, 의료진은 전자 태아 감시장치(NST)를 사용해 태아 심장박동 수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했다. 의료진은 2월 19일 자연 진통이 없자 태아심박동 수를 모니터링하면서 유도분만을 시행해 오후 2.. 2023. 6. 12. 수면내시경검사 의료사고 체크 포인트 수면내시경검사를 하는 의사가 지켜야 할 주의의무 1. 검사 중 활력징후 감시 의무 프로포폴 수면마취를 할 때에는 시술이나 수술에 참여하지 않은 독립된 의료진이 수면마취의 깊이와 환자의 산소포화도, 혈압, 맥박, 호흡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한다. 그리고 수면마취 과정에서 호흡이상 증상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해야 한다. 2. 의식이 회복될 때까지 관찰 의무 프로포폴을 투여하고 수면마취 상태에서 수면내시경검사를 할 때에는 호흡부전, 기도폐쇄로 인한 저산소증, 저혈압 및 부정맥 등 심혈관 기능 이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내시경검사를 하는 의사는 환자가 수면마취에서 의식을 완전히 회복할 때까지 환자의 호흡과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3. 부작용 발생.. 2022. 8. 16. 기도삽관 잘못한 과실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소아 환자가 병원에서 급성편도염 진단 아래 항생제를 투여한 직후 의식을 잃어 심장마사지, 기도삽관 등의 조치를 했지만 저산소뇌병증 등으로 사망한 안타까운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해당 병원이 항생제 과민성에 대해 사전 진단하지 않은 과실이 있는지, 항생제 주사방식과 경과관찰 과정에서 과실이 있는지, 시도삽관을 잘못한 과실이 있는지 등입니다. 환자의 치료 경위 소아인 환자는 지속적으로 열이 나자 피고 병원에 내원했는데요. 피고 병원 소아과의사는 상세불명의 급성편도염으로 진단하고 환자를 입원 조치했습니다. 그리고 오후 2시 48분 경 생리식염수, 항생제인 후루마린 등을 주사했습니다. 의식을 잃은 환자 그런데 환자는 2시 49분경 호흡곤란, 청색증 등의 증세를 보이면서 의식을 잃었습.. 2021. 9. 24. 신생아가사에 대한 처치과정 과실로 뇌손상 신생아가사에 대한 처치과정 과실로 뇌손상 이번 사건은 신생아가 출산 직후 신생아가사 상태에 빠졌고, 이로 인해 안타깝게도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 경직성 사지마비, 언어 및 인지기능 장애가 발생한 사례입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의료진이 신생아가사에 대해 기관내 삽관을 포함해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하지 않은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정기적으로 산전진찰을 받아왔는데 태아에게 특별한 이상소견은 없었습니다. 원고는 임신 36주 산전진찰에서 탯줄이 태아의 목을 감고 있는 것이 발견되어 경부제대륜으로 진단받았습니다. 하지만 그 밖에 특이소견이 없어 자연분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원고는 임신 40주 분만진통이 발생해 분만을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원고는 오전 1시 경 .. 2021. 4. 5.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