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정특례14

진료비 산정특례 대상 희귀질환 추가 지정 질병관리청은 총진료비의10%만 부담하는 66개 질환을 2025년부터 희귀질환으로 추가 지정한다. 이번에 추가되는 희귀 질환과 진료비 산정특례에 대해 알아본다.  추가되는 희귀질환국가관리대상 희귀 질환으로 추가되는 질환은 아래와 같다.  △이완불능증 Achalasia △손발바닥농포증 Pustulosis palmaris et plantaris △선천성 이상각화증 Congenital dyskeratosis △AGO1 관련 발달지연 AGO1 related developmental delay △ASH1L 관련 지적발달장애 ASH1L related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AUTS2 관련 장애 AUTS2 related disorder △CACNA1E 관련 장애 CACN.. 2024. 12. 2.
1천만 원 넘는 췌장암 치료비, 산정특례로 해결 췌장암은 췌장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췌장은 소화효소와 인슐린 같은 호르몬을 생산하는 장기이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진단이 늦어지기 쉽고, 진단 시점에서 이미 진행된 사례가 많아 예후가 나쁜 암 중의 하나이다.   췌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거나 매우 모호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어렵다. 주요 증상은 피부와 눈의 흰자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 급격한 체중 감소, 상복부에서 시작해 등으로 방사되는 통증 등이 있다.   췌장암 치료는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주로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표적항암치료나 면역치료 등이 있다. 초기 단계에서는 수술적 절제가 가능하지만 진행된 경우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를 많이 한다. 췌장암은 발견이 늦을수록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 2024. 9. 30.
혈액투석 비용과 산정특례, 환자 유의할 점 당뇨병이나 고혈압, 신장병 등으로 콩팥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 소변으로 나가야 할 노폐물이 몸에 쌓이게 된다.  대한신장학회에 따르면 만성 콩팥병이 진행해 말기 신부전이 되면 신장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혈액투석(신장투석)이나 신장이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혈액투석(hemodialysis)은 환자의 혈액을 끌어내어 투석기계에 순환시키면서 혈액 속의 노폐물과 과잉 축적된 수분을 제거한 뒤 다시 체내로 돌려주는 치료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투석은 인공신장실에서 1회당 4시간, 주 3회 시행한다.  혈액투석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혈액투석 환자 수는 2018년 6만 8,090명에서 2021년 7만 9,272명으로 늘었고, 2022년에는 8만 명을 돌파해 8만.. 2024. 9. 19.
자궁경부암 치료, 수술 비용과 산정특례 자궁경부암은 질 속에 노출된 자궁의 입구라고 할 수 있는 자궁 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자궁암이라고 하면 보통 자궁경부암을 의미한다.  자궁경부암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자궁경부암 환자는 2018년 6만 1,837명에서 2021년 6만 5,631명, 2022년 6만 7,133명으로 늘었다.  자궁경부암은 30대부터 발병률이 크게 높아진다.  연령별 자궁경부암 환자 수를 보면 20대 4,465명에서 30대 1만 5,344명, 40대 1만 7,831명, 50대 1만 4,592명, 60대 1만 1,048명, 70대 4,697명, 80세 이상 1,534명으로 집계되었다.  자궁경부암 치료와 진료비자궁경부암 치료는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이 있다.  .. 2024. 9. 16.
간암 수술 치료비용, 산정특례 이용 방법 간암 진단을 받으면 걱정되는 것 중의 하나가 진료비다. 간암 진단을 받아 수술 등을 하면 치료기간도 길 뿐만 아니라 비용도 수 천만 원이 들어갈 수 있어 비용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는 암환자들의 진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다양한 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만큼 그리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간암 환자는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간암 환자는 2018년 7만 3,834명에서 2019년 7만 5,203명, 2020년 7만 5,494명, 2021년 7만 7,225명, 2022년 7만 7,757명으로 늘었다.  간암 환자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 많이 발병한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729명, 40대가 4,334명, 50대가 1만 5,145명, 60대가 2만 .. 2024. 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