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내막염9 심내막염 증상, 진단 및 치료 심내막염 증상과 진단, 치료 방법 감염성 심내막염은 심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는데, 발열과 오한, 심부전, 전신 통증을 동반한다. 감염성 심내막염의 주요 진단 방법은 혈액배양검사와 심장초음파검사가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되면 보통 6주, 최소 4주 이상 장기간에 걸친 정맥 내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또 혈액배양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균이 의심될 경우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열이 있다고 해서 처음부터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과잉검사가 될 수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에 의해 심장 판막에 심한 손상이 생겨 폐쇄 부전증이나 심부전 증상이 심해질 경우,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 또는 우종에 의해 반복적으로 혈전증이 발생하는 경우 .. 2024. 1. 8. 심내막염 증상과 진단, 치료, 의사 진료 의무 심내막염 증상과 치료과정 주의할 점 심내막염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 최악의 경우 의식 불명이 되거나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열과 오한, 가슴 통증 등으로 호소하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는 아래와 같은 주의의무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감염성 심내막염 임상 증상과 진단, 치료방법, 의사의 주의의무를 알아본다. 감염성 심내막염 감염성 심내막염은 세균과 진균을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 소수의 세균종이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의 5~15%에서는 혈액배양검사가 음성인데 이 경우 절반 정도는 이전에 항생제를 미리 투여한 환자이고, 다른 경우는 배양 조건이 까다로운 균종에 의한 감염이다. 심내막염 임상 소견은 매우 다양하고 비특이적이다. 증상은 발열이 80~85% 정도로 가장 흔하며 이.. 2023. 11. 18. 엘 튜브(L-tube) 삽입술 의료분쟁 동정맥루 수술 부위 출혈로 인조혈관 제거 환자는 과거 피고 병원에서 좌측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e, 인조혈관) 수술을 받았고, 5개월 뒤 수술 부위 출혈로 피고 병원 응급센터를 방문해 입원했다. 이에 의료진은 인조혈관 제거술(graft removal operation)을 시행했는데 환자는 며칠 뒤 혈액에서 그람양성균이 발견되었고, 분절핵 호중구 수치가 계속 상승했다.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항생제 투여 이에 대해 감염내과는 감염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항생제를 추가 투약하고, 중환자실로 옮기고 감염내과로 전과하라고 회신했다. 환자는 혈액투석 동정맥루 재개통술을 받은 뒤 병동으로 돌아왔고, 감염내과 의사는 오후 6시 30분 환자에 .. 2022. 7. 4. 심내막염, 폐동맥판막 치환술 의료과실 고열 발생해 피고 병원 입원 환자는 며친 전부터 38도의 발열이 있자 피고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해 혈액검사, 미생물검사, 심장초음파검사 등을 받았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구상상주균이 검출되었지만 항생제를 투약한 뒤 더 이상 균이 검출되지 않자 퇴원 조치했다. 감염성 심내막염 및 폐동맥 기능부전 확인 원고는 몇 달 뒤 39도의 발열이 다시 발생해 피고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다시 내원했고, 혈압 저하, 소변량 감소 등이 발생하자 심장초음파검사를 실시해 폐동맥관의 우종(세균덩어리) 및 기능부전을 확인했다. 피고 의료진은 감염성 심내막염의 치료 및 폐동맥 판막의 기능 복원을 위해 우종 제거술 및 폐동맥판막 재치환술에 대해 설명한 뒤 1차 수술을 시행했다. 수술 중 대량출혈 발생해 수차례 재수술 피고는 1차 수.. 2022. 4. 19. 실신, 현기증 환자 퇴원 직후 심정지 실신, 현기증으로 병원 검사에서 특이소견 없자 퇴원한 직후 심정지 이번 사건은 가끔 실신해 병원에서 각종 검사를 받은 결과 특이소견이 없어 다음날 심장초음파 등의 추가 검사를 받기로 하고 퇴원해 귀가하던 도중 심정지로 사망한 사례입니다. 이에 대해 유족들은 환자의 임상 증상이 전형적인 급성심내막염을 보였음에도 의료진이 관련 검사나 응급 수술 등을 하지 않고 퇴원시킨 과실이 있다며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는데요. 법원은 어떤 판단을 했을까요? 사건의 개요 환자는 실신을 한 뒤 어지럽고 가슴이 불편한 증상이 계속됐고, 기침을 한 이후 가슴이 답답하고 현기증이 있어 잠시 의식을 잃었다가 깨어난 이후에도 계속 현기증이 있자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습니다. 당시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활력징후와 각종 검사를 받.. 2021. 2. 2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