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면마비15 중이염수술 부작용사건 사례1. 중이염 수술후 안면마비 중이염수술 후 부작용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중이진주종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은 직후부터 좌측 안면마비 증상이 발생해 안면신경감압술을 받았지만 안면표정근육이 마비되는 증상이 남아있는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피고 병원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주의의무를 위반해 신경을 손상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중이염 수술 후 안면마비 사건의 개요 중이염 수술 후 좌측 안면마비 발생 원고는 난청과 인후통으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좌측 중이진주종(중이염) 진단을 받고 중이근본수술(좌측 이소골성형술, 상고실개방술, 유양돌기절제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직후 좌측 안면마비 증상이 발생했다. 이에 원고는 당일 같은 의사로부터 안면신경감압술을 받았지만 안면 불완전마비로 안면표정근육이 마비되.. 2022. 9. 1. 양악수술 후 안면마비, 턱 감각 저하, 우울증 발생 양악수술로 인한 주요 부작용은 신경손상입니다. 이번 사례는 주걱턱을 교정하기 위해 치과의원에서 양악수술을 받은 뒤 안면마비, 턱 부위 감각 저하, 우울증 등이 발생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치과의사가 양악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신경을 손상한 과실이 있는지, 수술을 하기 전에 환자에게 수술로 인한 부작용 등을 충분히 설명했는지 여부입니다. 인정사실 원고는 피고 치과의원에 내원해 주걱턱 교정을 위한 상담을 받고 양악수술을 받기로 했습니다. 피고의원 치과의사는 수술 당시 하치조신경을 찢어 봉합을 시행했습니다. 그리고 수술 도중 우측 아래턱 상행지의 불완전골절도 초래했습니다. 양악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양악수술과 관련한 부작용 중 신경손상은 주로 하치조신경과 이부신경을 손상할 수 있는 하악수술, 즉 아래.. 2021. 9. 29. 수술하면서 악성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과실 이번 사건은 귀밑샘에 다형선종이 재발해 수술을 받은 뒤 악성종양이 재발하자 재수술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종양제거수술을 하면서 종괴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과실이 있는지, 악성종양을 확인한 후 신속하게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과실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과거 왼쪽 귀밑샘에 다형선종이라는 양성종양이 발생해 수술을 받았는데 그 뒤 재발해 두 차례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바 있습니다. 원고는 10년 뒤 왼쪽 이하선 부위에 종괴가 발생하자 피고 병원 성형외과에 내원해 초음파검사를 받은 결과 다형선종이 재발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피고 병원에 입원해 종양을 제거하는 이하선(귀밑샘) 절제술을 받은 후 퇴원했다. 당시 진단명은 양성종양이었습니다. 의료진은 수술로 제거한.. 2021. 6. 20. 안검성형술, 안면거상술 후 양쪽 쌍꺼풀 비대칭, 안면부 감각이상 안검성형술 과정에서 양쪽 눈꺼풀에 비대칭이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다른 성형외과에서 3번 쌍꺼풀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데 피고 성형외과에서 쌍꺼풀이 너무 높아 낮추는 안검성형술을 받았다. 또 눈가주름 개선을 위한 레이저 안면거상술 및 보톡스 주입술도 시행했다. 원고는 1주일 뒤 쌍꺼풀 재수술을 받았다. 원고는 피고 성형외과에서 6개월 뒤 왼쪽 귀 몸우리 제거수술을 받았는데 그 뒤 지방오일낭종이 감염돼 왼쪽 귀 부분이 빨갛게 부어오르고 고름이 생겼다. 원고의 현재 증상 1. 좌즉 상안검의 불완전 폐쇄로 눈이 약간 안 감긴다. 2. 쌍꺼풀 비대칭 증상. 원고의 주장 안검성형술 과정에서 양쪽 눈 크기가 현저한 차이를 발생케 했고, 교정술을 했지만 같은 잘못을.. 2019. 4. 22. 위막성 대장염 치료, 설사 추가검사 안한 과실 대장염 대장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원인에 따라 크게 감염성 장염과 비감염성 장염으로 분류한다. 급성 감염성 대장염은 전세계적으로 많이 발생되며 발열, 오심, 구토, 점액성 또는 혈성 설사와 복통이 주 증상이다. 감염균의 종류에 따라 바이러스성 장염(노로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세균성 장염(콜레라, 대장균, 이질, 장티푸스, 예르시니아, 캠필로박터), 원충 대장염(아메바), 위막성 대장염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뇌내출혈로 인한 안면마비, 편마비, 간질발작하자 항생제 투여후 위막성 대장염으로 사망…설사 추가검사 안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집에서 쓰러진 채로 발견돼 뇌내출혈로 피고 병원에.. 2019. 1. 2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