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양악수술부작용5

양악수술 후 감각이상 부작용 어쩌나? 양악수술 방법과 부작용, 치과의사 주의점 및 선택 방법 양악수술은 주걱턱, 부정교합, 안면 좌우 비대칭, 무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위턱과 아래턱을 조정해 씹고, 말하고 숨 쉬는 기능적 회복을 하고, 균형 잡힌 외모를 만들기 위한 수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악수술 과정에서 신경 손상 등으로 입술과 잇몸, 안면 감각 이상 또는 저하, 이로 인한 우울증, 저작 장애, 개구장애, 안면 비대칭, 수면장애 등의 심각한 합병증 내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양악수술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하고, 치과를 선택할 때 역시 치과의사의 수술 경험 등을 꼼꼼하게 살핀 뒤 결정하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치과의사가 지켜야 할 점 양악수술 과정에서 부작용, 합병증 등을 예방하거나 최소화.. 2023. 11. 23.
양악수술 의사 신경손상 사건 양악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양악수술을 하는 의사는 하치조신경과 안와하신경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 이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수술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 수술 이후에는 간접적 또는 이차적인 신경손상에 대비해 신경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나 신경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할 의무도 있다. 이번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치아 교합이 맞지 않아 피고 의원에서 양악수술을 받은 뒤 턱과 볼 부위에 매우 심각한 감각이상, 삼차신경장애 진단을 받은 사안. 사건의 쟁점은 피고 의사가 수술 과정에서 주변신경을 최대한 손상하지 않을 주의의무를 위반해 위와 같은 후유증을 초해했는지, 수술 이후 환자에게 감각이상증상이 발생했는지 주의 깊게 살피고, 이상증상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했는지 여.. 2022. 7. 16.
턱교정 위한 양악수술 중 하치조신경 손상 안모비대칭, 광대부각 수술 시행 원고는 안모비대칭(아래턱 또는 위턱의 양쪽 균형이 맞지 않는 것)과 광대부각을 교정하기 위해 D치과에 내원해 수술 상담을 받았다. 당시 원고는 피고 치과로부터 수술방법, 치료과정, 코 비대칭이 심해 수술 후 비대칭 느낌이 남을 수 있다는 점, 턱관절질환의 경우 증상이 완화될 수는 있지만 완치가 불가능한 점 등에 관해 설명을 들었다. 양악턱교정수술 후 하치조신경 손상 피고 치과의사는 원고에 대해 양악턱교정수술, 광대성형술 및 턱끝성형술을 시행했다. 양악턱교정수술은 절골술 후 절골 부위의 골편을 나사 및 금속고정판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시행됐다. 그런데 원고는 수술 후 좌측 하치조신경(아래 치아와 아래턱뼈에 분포하는 신경)이 손상되어 자각적으로 왼쪽 귀 앞 부위 및 광대 부위.. 2022. 4. 20.
돌출입 양악수술 후 개방교합, 부정교합, 이개 돌출입 수술 경위 원고는 평소 돌출입으로 고민하던 중 피고가 운영하는 성형외과에 내원해 상담을 받고, 3월 7일 양악수술을 받았다. 원고는 4월 12일 좌측 위 아래 치아의 사이가 벌어지고 위쪽 잇몸부터 머리와 목, 어깨까지 통증이 생겨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양악수술 후 개방교합, 이개 확인 원고는 피고의 소개로 E치과에서 엑스레이 검사를 한 결과 개방교합(위아래 앞니끼리 떠있어서 음식을 자를 수 없는 상태)과 좌측 치아들의 이개(인접한 두 치아 사이의 공간) 상태가 확인되었다. 원고가 부정교합과 통증을 계속 호소하자 피고는 치과 치료를 권유했고, 원고는 5월 17일 F치과에 내원했다. 수술 후 부정교합 진단 F병원에서는 원고의 상태에 대해 이를 다물었을 때 우측 최후방 어금니 4개만 교합이 되고 나머.. 2021. 12. 17.
주걱턱, 부정교합 양악수술 의료사고 양악수술 부작용으로 인한 의료분쟁: 안면 비대칭, 개구장애, 양측 입술과 턱 부위 감각저하, 개구시 턱관절 잡음, 좌우측 부정교합 사건: 손해배상 판결: 원고 일부 승 사건의 요지 원고는 피고 치과에서 주걱턱 교정과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양악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후 안면 비대칭, 턱부위 감각저하 등을 정상을 호소하기 시작했고, 2차 수술을 했지만 증상이 개선되지 않았다. 원고는 현재까지도 안면 비대칭, 개구장애, 양측 입술과 턱 부위 감각저하, 개구시 턱관절 잡음, 좌우측 부정교합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원고의 주장 피고는 수술 과정에서 신경을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찢거나, 수술중 뼈를 이동시키면서 신경에 손상을 입히는 등의 술기상 잘못을 저질렀다. 이로 인해 안면 비대칭, 개구장애, .. 2020.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