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명6 귀 고름 만성중이염 수술 후 난청, 이명 등 부작용 중이염 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일반적으로 중이염 수술을 하는 의사는 환자의 뇌신경들이 다치지 않도록 환자의 CT 사진을 면밀히 검토하고, 안면신경 주행경로를 예측해 안면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수술 과정에서 안면신경이 손상되면 안면신경마비가, 과도한 이소골 조작을 하면 청각상실이, 미로가 손상되거나 과도한 이소골 조작의 경우 심한 전정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중이염 수술 후 부작용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만성중이염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는 과정에서 의료진이 안면신경을 손상해 안면 근력 저하, 난청, 이명 등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안면신경, 청각신경 등을 손상하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수술에 앞서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행.. 2022. 9. 26. 고름, 이명, 통증 만성중이염 수술후 안면신경마비 만성중이염 수술 부작용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만성중이염 진단 아래 유양돌기삭개술 등의 수술을 받은 뒤 안면신경이 손상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하는 과정에서 의료상 과실로 인해 안면신경을 손상했는지 여부다. 또한 수술에 앞서 수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후유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를 이행했는지 여부도 쟁점이다. 만성중이염 수술 후 안면신경손상 사건의 개요 원고는 오른쪽 귀에 혈성 이루(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가 생기고 2년 뒤 이명, 이통이 발생했다. 그러다가 이루 양이 증가하기 시작하자 피고 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했다. 당시 담당 의사는 원고를 검사한 결과 안면신경 근처 육아조직이 가득하고, 안면신경관의 고실 부분이 녹아 있었으며, 혼합성 난청을 보였다. 중증.. 2022. 9. 23. 안면경련 진단후 미세혈관감압술 받고 안면신경 마비, 청력상실, 이명 환자에게 의료행위 이전에 악결과의 원인이 될 만한 건강상의 결함이 없었다는 사정을 증명한 경우 의료행위를 한 측이 그 결과가 의료상의 과실로 인한 게 아니라 전혀 다른 원인으로 말미암은 것이라는 입증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는 이상 의료상 과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거나 그 결과의 발생에 의료상의 과실 이외의 다른 원인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간접사실들을 입증해 의료상 과실에 따른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게 대법원의 판례다. 다만 그런 경우에도 의사의 과실로 인한 결과 발생을 추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는 사정들을 가지고 막연하게 의사의 과실과 인과관계를 추정해 의사에게 무과실 입증책임을 지우는 것까지 허용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 2018. 10. 10. 안면 신경마비 수술 과정에서 신경 손상해 난청 증상 안면 신경마비 증상으로 후두하 개두술 및 안면신경 미세혈관 감압술 과정에서 청각신경을 손상해 감각신경성 난청 증상.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원고는 좌측 귀의 이명(귀울림) 증상이 발생해 피고 병원 이비인후과 등에서 치료를 받아왔다. 그러던 중 좌측 안면신경 마비 증세로 피고 병원 신경외과에서 ‘반측성 안면경련증(일명 안면 반측마비)’라는 진단을 받았다. 이에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좌측 후두하 개두술 및 안면신경 미세혈관 감압술을 받았다. 원고는 수술을 받은 다음날부터 피고 병원 의료진에게 청력장애를 호소했고, 신체감정결과 좌측 귀에 고도의 감각신경성 난청 증상을 보였다. [난청] 난청은 소리를 받아들이는 귓바퀴부터 복합적으로 분석하는 뇌까지의 청성 회로의 일부가 역할을 다 .. 2017. 12. 5. 갑자기 지주막하 출혈, 뇌부종, 뇌간경색으로 뇌사 청신경초종 수술 지연 여부.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환자는 약 5개월 전부터 좌측 귀의 청력이 저하되고, 귀의 이명, 어지러움 등의 증상으로 피고 병원을 내원해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받은 결과 소뇌교각부에 길이 2.7cm의 종양이 발견되었다. 피고 병원 신경외과 의사는 크기 2cm의 뇌수막종 또는 청신경초종으로 진단하고, 안면마비 증상에 대해서는 '벨 마비'라고 진단했다. 청신경초종[vestibular schwannoma ] 청신경의 슈반 세포에서 기원하는 뇌종양. 소리를 지각하는 청신경의 슈반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초기에는 내이도 내에서 발견되나 종양이 커지면서 내이도가 확장되고 여러 방향으로 자라 주위 뇌신경 및 뇌간, 소뇌를 압박하고 위치를 변화시킨다. 빈도는 원발성 두개강 .. 2017. 9. 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