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정제9

프로포폴 수면내시경 검사 전 유의할 점 수면내시경 검사 후 장해 예방하려면 프로포폴 진정 후 수면내시경 검사를 하는 의사는 검사 전, 검사 과정, 검사 후 경과관찰 과정에서 주의의무를 다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면내시경 검사 후 심각한 뇌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수면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면 아래와 같은 점을 반드시 유의해서 검사를 받을 의료기관을 결정하는 게 안전하다. 프로포폴 투여 전 확인할 점 수면내시경검사를 할 때 프로포폴을 진정제로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속효성 제제의 특성상 사망에 이르게 되는 확률이 낮기 때문인데 호흡억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프로포폴의 부작용으로는 저혈압, 호흡억제 등이 있는데 고령의 환자는 투여량을 줄이고, 심장, 호흡기계, 신장 또는 간장손상환자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프로포.. 2024. 2. 2.
진정제‧마취제 투여후 CT, 혈관조영술 과실 뇌동맥류 파열 수술 후 심정지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출혈 수술을 받은 뒤 진정제와 마취제 투여후 뇌CT와 혈관조영술을 한 뒤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피고 병원이 뇌CT, 혈관조영술을 위해 진정제와 마취제를 투여한 후 응급상황에 대비해 활력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할 의무를 이행했는지, 뇌영상촬영에 앞서 이로 인한 부작용 등을 상세하고 충분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를 이행했는지 여부다. 뇌동맥류 파열 수술 후 심정지 사건의 개요 환자는 갑자기 두통이 발생해 피고 병원에 내원해 우측 중대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출혈 진단을 받고, 같은 날 접형동 접근법을 이용한 뇌동맥류 결찰술과 출혈 제거술을 받았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후 뇌혈관연축을 예방하기 위해.. 2022. 9. 6.
사고로 인한 골절, 폐좌상 환자 골절수술 시작 직후 심정지 사고로 골절, 흉막하 무기폐와 폐좌상 등을 당한 환자에 대해 골절수술을 위해 국소마취제와 진정제를 투여한 직후 심정지로 뇌손상과 뇌부종이 발생해 사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F는 오토바이를 운전하던 중 곡선도로에서 넘어지면서 옹벽에 부딪혀 119 구조대를 통해 G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었다. 병원 의료진은 검사 결과 우측 상부 경골관절구와 비골 복합골절 및 좌측 상황골 골절, 흉막하 무기폐와 폐좌상 외에도 백혈구 증가증, 신장기능 이상, 간 기능 이상, 호흡성 알칼리즈, 대사성 산증, 고혈당증, 저산소증 등을 확인했다. 이에 진통제와 항생제를 투여하고 산소를 공급한 후 입원해 골절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F와 환자 아버지는 연고지에 가까운 .. 2020. 6. 15.
충치 치료를 위해 진정제와 국소마취제 투여후 심정지 환아의 충치를 치료하기 위해 진정요법으로 진정제와 국소마취제를 투여한 후 심정지 발생 사건: 손해배상 판결: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아는 충치(치아우식증) 치료를 받기 위해 피고 치과를 방문했다. 피고 치과의사는 환아의 충치가 많아서 진정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겠다고 설명한 뒤 진정제인 포크랄 시럽과 유시락스 시럽을 경구 투여했다. 또 피고는 환아가 진정상태인 것을 확인한 뒤 신체속박장치(패디랩)로 어깨부터 무릎까지 덮어 고정한 뒤 미다졸람 등으로 국소마취를 하고 충치치료를 위한 수술을 시작했다. 진정제 및 국소마취제 리도카인의 적정 용법 및 용량은 아래와 같다. 그런데 수술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가 갑자기 떨어지는 등 이상증상이 발생해 수술을 중지한 뒤 심폐소생술.. 2019. 4. 24.
기관삽관 튜브를 기도가 아닌 식도로 잘못 삽입한 사건 폐부종은 질환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폐의 조직과 폐포로 체액이 빠져나가 고이면서 가스교환을 악화시켜 심한 호흡곤란을 야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번 사건은 자궁외임신중 난관파열로 인한 혈복강에 대해 난관절제술 및 복강내 혈종제거술을 한 뒤 폐부종으로 기관삽관했지만 튜브를 기도가 아닌 식도로 잘못 삽입한 사례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하복부 통증을 호소해 임신반응검사를 한 결과 자궁외 임신이 의심되자 피고 병원으로 전원됐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초음파검사 등을 한 결과 우측 난관임신이 의심돼 보존적 약물치료를 계획했는데 난관 파열로 인한 혈복강이 의심돼 복강경하 우측 난관절제술 및 복강내 혈종제거술을 시행했다. 의료진은 수술후 흉부 방사선검사에서 폐부종 .. 2019. 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