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척수병증5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전 유념할 점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부작용과 환자 주의할 점 P 씨는 퇴근하던 중 다리 마비 증상이 발생하자 뇌출혈을 의심해 바로 C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MRI 검사 등을 받았다. 그 결과 다행히 뇌출혈은 아니었지만 척수병증을 동반한 경부(목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이에 추간판을 제거하고, 척수를 감압한 후 케이지를 삽입해 고정하는 수술을 했다. 그런데 수술 이후 다리 강직성 마비, 자력으로 기립이나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고, 스스로 식사나 옷 입기 등을 할 수 없는 지체기능장애 2급 장애 진단을 받았다. P 씨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동이 불가능하다. 척수병증이란? 척수에 기존의 압박이 있는 상태에서 굴곡되면 척수가 길고 가늘어지며 골극에 의해 척수 압박이 증가한다. 또 척추.. 2024. 4. 9.
척추마취 부작용으로 하지마비 이번 사례는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진단을 받은 환자가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하지 완전 마비 진단을 받은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인공관절 수술을 위한 척추마취 과정에서 경막내 혈종이 발생해 이로 인한 하지 마비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했는지, 설명의무를 다했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양쪽 무릎에 간헐적인 통증이 있다고 호소했고, 의료진은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단했습니다. 원고는 복용중이던 고혈압 약물 투여를 중단하고 피고 병원에 입원해 좌측 무릎에 인공관절 수술을 받았습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에 앞서 요추(허리등뼈)에 마취제를 주입하는 척추마취를 시행했습니다. 원고는 다음날 여러 차례 수술 부위에 심한 통증을 호소했고, 의료진은 마약성.. 2021. 7. 22.
목디스크 수술 후 사지마비 이번 사건은 허리를 삐끗해 목디스크 진단을 받고 경추 제5-6번간 전방 경유 경추골 유합술을 받은 뒤 상하지 근력 저하 증상이 발생해 2차 수술을 한 직후 사지마비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걷다가 허리를 삐끗한 이후 오른쪽 손에 저린 감이 있어 병원에 내원해 제5-6번 경추간(목뼈) 추간판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에 원고는 수술이 아닌 비수술적 치료를 받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습니다. 피고 병원 신경외과 전문의는 시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경추 제5-6번간 전방 경유 경추골 유합술(1차 수술)을 시행했습니다. 의료진은 1차 수술 후 원고의 상태를 관찰했는데 우측 상하지 근력 저하 증상이 지속되자 경추부 후궁 절제술(2차 수술)을 시행했습니다. 원고는 시술 및 각 수술 이후 사지.. 2021. 5. 26.
후종인대골화증 수술 중 신경 손상해 인공호흡기 치료 중 사망 후종인대골화증 수술 과정에서 횡경신경을 손상, 호흡곤란이 발생해 기관절개관과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던 중 자가호흡을 한 직후 사망. 의료행위 과정에서 의료인의 과실이 있었는지는 이를 주장하는 환자 측에서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의료행위가 고도의 전문적인 분야이다 보니 의사만이 의료 과정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의사가 아니면 의료행위 이후 부작용이 의료상 과실로 인한 것인지 도저히 밝혀낼 수 없는 특수성이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특정 시술을 받기 전에는 건강상 결함이 없었다는 것을 증명할 때에는 의료상 과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정해 손해배상 책임을 지울 수 있도록 입증책임을 완화하는 것이 손해배상제도의 이상에 맞다는 게 대법원의 판례다. 후종인대골화증 수술 과정에서 횡경신경을 손상, 호흡.. 2018. 8. 22.
치질수술을 하면서 신경손상해 하지 근력저하, 변실금 군 훈련소에서 군의관이 탈출내치핵 진단 아래 치질수술을 하면서 신경손상을 가해 하지 근력저하, 변실금 장애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원고는 군에 입대해 훈련소에서 군사기본교육을 받던 중 탈출내치핵 진단을 받고 군의관으로부터 치핵절제술을 받고 수술부위 출혈이 있어 재수술을 받았다. 치핵 절제술 치핵(치질)을 이루는 혈관과 주변 결체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 치핵(치질)은 항문점막 아래 상하 직장 정맥총이 울혈되고, 장기간 동안 배변과 점막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반복되면서 항문점막을 지지하는 조직이 탄력을 잃고 이완되어 발생한다. 따라서 치핵을 근치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혈관을 묶어주고(결찰), 혈관과 주변 결체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는데, 이것이 바로 치핵 .. 2017. 11.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