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척수손상11

후종인대골화증 증상과 수술 집도의 준수 사항 후종인대골화증 집도의 주의의무 후종인대골화증은 후종인대가 두터워지고 뼈처럼 딱딱해져 각종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증상은 목 디스크처럼 목덜미가 결리고 뒷목과 양 어깨가 뻐근하고 쑤신다. 손이 저리거나 팔에 통증이 있으며, 손에 힘이 없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심하면 다리 감각 이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주로 전신 마취 아래 전방 경유 절제술 및 유합술 등을 시행하게 되는데 수술 과정에서 의료진의 잘못으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신중하게 병원, 의료진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종인대골화증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수술 전, 수술 과정, 수술 후 경과 관찰 과정에서 지켜야 할 주의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환자에게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2023. 12. 5.
목디스크 신경차단술 후 사지마비, 식물인간 이번 사건은 환자가 목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신경차단술을 시행한 직후 혈압이 떨어지고 청색증을 보여 상급병원으로 전원해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지만 저산소증 뇌손상으로 식물인간 상태가 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정형외과 의사의 시술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는지, 환자의 응급상황 처치 과정의 과실이 있는지, 설명의무를 이행했는지 등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허리등뼈(요추부) 통증, 어깨 통증 등으로 피고 정형외과에서 리도카인을 이용한 주사치료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4년 뒤에는 경추(목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으로 스테로이드제인 덱사메타손과 디도카인을 혼합한 주사액을 이용한 액와신경, 견갑신경차단술을 받았는데요. 원고는 5개월 뒤 목 통증 치료를 위해 피고 정형외과를 방문했습니다. 그러자 피고 의사는 C-ar.. 2021. 6. 1.
목디스크 인공디스크 치환술 후 사지마비 목디스크 인공디스크 치환술 후 사지마비 이번 사건은 경추 4-5번 추간판 탈출증에 대해 인공디스크 치환술을 받은 이후 일상생활 동작에서 타인이 도움이 필요한 사지부전마비 증상과 배뇨장애, 정신과적 적응장애 등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목 뒤 부위인 후경부 통증(post neck pain)과 양측 어깨 통증, 저림, 보행장애와 헛발질 증상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에 내원했습니다. 검사 결과 원고는 경추 4-5번, 5-6번 추간판 탈출증 소견을 보였고, 원고가 호소하는 보행장애 등의 증상은 경추 5-6번 척수병증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원고는 몇 달 뒤 교통사고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CT 검사 결과 경추 5-6번 퇴행성 골증식과 디스크팽윤 소견을 보였고, 요추 MRI 검사 결과 요추 4-5번, 요추.. 2021. 5. 16.
목디스크 신경차단술 후 척수손상사건 의사는 시술을 할 때 시술에 맞은 약물을 사용하고, 시술에 앞서 의료행위의 위험성과 부작용, 후유증 등을 상세하게 설명할 의무가 있습니다. 아래 사건은 병원에서 신경차단술을 받은 후 척수손상을 받은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A씨는 좌측 상지 측면 부위 통증을 호소하며 G병원에서 건염 진단을 받고 통증 완화를 위해 근육통증유발점주사(TPI)를 맞았습니다. 그리고 한 달여간 몇 차례 더 치료를 받았는데요. A는 7개월 뒤 고개를 우측으로 돌리면 왼손과 팔이 짜릿한 느낌이 있다는 증상을 호소하며 K의원을 내원해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경추간판장애(목디스크) 진단을 받았습니다. 경추간판장애 추간판 조직의 생화학적 및 형태학적 변화로 경추부 통증이나 신경증상, 척추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척추 관절과 추간.. 2020. 9. 13.
후종인대골화증, 디스크 동반 척추관협착증 수술 의사 과실 의사가 경추 후종인대골화, 추간판탈출을 동반한 척추관협착을 수술하는 과정에서 경막을 파열해 상하지 불완전 마비, 배변 및 배뇨장애를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상하지의 마비(근력 약화) 증상과 양측 손, 다리의 저린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이에 의료진은 경추부 MRI 촬영을 거쳐 척수 불완전 마비, 경추 5-6번 후종인대골화, 추간판탈출을 동반한 척추관 협착으로 진단했다. 후종인대골화증 뼈와 뼈 사이의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해 주기 위해 인대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목 부위 경추에서 꼬리뼈 근처의 천추까지 척추 전체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인대가 존재한다. 척추의 전방에서 지지하는 것이 전종인대이며.. 2019. 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