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염 증상과 수술 후 복통, 복막염
췌장염 치료방법과 수술 후 증상, 의료사고 대응 췌장염은 상복부 통증, 구역질, 체온 상승, 혈압 저하,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데 혈액검사, 복부 CT 검사를 하면 췌장 부위에 염증을 확인할 수 있다. 췌장염 치료는 금식과 수액 투여,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생제 투여 등을 한 뒤 경과 관찰을 하면서 담즙 정체성이 회복되는지 확인하게 된다. 경과 관찰 과정에서 담낭에서 담석이 확인되면 담낭절제수술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해 췌장염의 원인이 담석에 의한 급성 담낭염인 경우 담낭절제술로 원인을 제거하지 않으면 급성 췌장염, 급성 담낭염, 급성 담관염 등을 재발할 위험이 높아진다. 급성 췌장염의 경우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의 췌장효소 수치가 정상화된 후 담낭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방법이다..
2024. 1. 15.
담석 증상과 합병증, 시술 중 천공으로 패혈증
담석 증상과 치료 담석은 담낭 안에 담즙이 응고되어 형성된 돌이다. 담석증의 증상으로는 소화불량 및 설사, 우상복부 통증, 발열과 오한, 황달, 등 통증 등이 있다. 총담관(쓸개관) 담석은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조영술(ERCP)은 내시경으로 오디괄약근을 절개한 후 담관 안에 있는 담석을 제거하는 시술이다. 담낭 담석이 동반된 경우 복강경을 이용해 절제할 수 있다.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의 합병증이나 후유증으로는 내시경에 의한 점막 손상, 복통, 출혈, 천공, 췌장염, 담관염, 복막염, 패혈증, 사망 등이 있을 수 있다. 아래 사례는 담관 담석을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천공이 발생해 대학병원으로 전원해 개복수술을 받았지만 ..
2023. 3. 6.